•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칼 바르트의 삼위일체론에 관한 비평적 고찰: 필리오꾸에 교리를 중심으로 (Critical Considerations on Karl Barth’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Focusing on the The Filioqu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4.02
23P 미리보기
칼 바르트의 삼위일체론에 관한 비평적 고찰: 필리오꾸에 교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41권 / 47 ~ 69페이지
    · 저자명 : 김옥주

    초록

    20세기 신학에 있어 삼위일체론의 르네상스와 함께 필리오꾸에를 절대적으로 옹호했던 학자는 단연 칼 바르트라 하겠다. 그는 계시 자체가 삼위일체론의 뿌리라고 주장함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급진적이면서도 독특한 삼위일체론을 피력한다. 그러한 확신은 자신의 『교회교의학』 가장 처음부분을 삼위일체론으로 구성함으로써 나머지 교리의 전제가 되게 한 점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이러한 구조적 설계는 두 번의 세계대전을 통해서 드러난 자연신학의 폐단에 대한 바르트의 깊은 저항의식에 근거한다. 바르트는 신지식(knowledge of God)을 얻는데 있어 서방신학 속에 뿌리 깊게 내재한 비신학적(non-theological) 접근 즉, 자연신학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다. 그에게 있어 신지식은 인간의 어떠한 노력이나 방법이 아닌 오직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을 통한 하나님의 은혜로운 행동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계시 안에서 계시된 하나님은 성부, 성자, 성자로서의 한 주님(Lord)이다. 인간은 오직 삼위일체 하나님의 계시 외에는 다른 어떠한 방법으로도 신지식에 도달할 수 없다.
    여기서 필리오꾸에는 바르트에 의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어거스틴이 삼위일체의 신적인 존재의 내적 관계, 특별히 아들과 성령의 구별된 관계를 밝히기 위해 필리오꾸에를 체계화하였다면, 바르트는 보다 실질적인 목적 즉, 자신의 삼위일체론의 논리를 뒷받침하기 위해 필리오꾸에 교리를 체계적으로 사용한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바르트가 주장한 삼위일체론을 살펴본 후, 필리오꾸에 교리의 쟁점 가운데서 성자와 성령 사이의 관계에 집중할 것이다. 그것을 통해 그가 전통과는 다르게, 그러나 모든 형태의 자연신학을 배격하고 그리스도의 계시를 옹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필리오꾸에를 전략적으로 사용하였음을 피력할 것이다. 나아가 비평적 평가를 통해 바르트의 의도와는 다르게, 성령의 인격성(Personhood)과 사역에 대한 균형 있는 인식을 얻는데 실패함으로써 삼위일체 본연의 모습을 적절하게 진술하지 못했음을 지적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revailing Reformed advocate of the filioque in the 20th century is none the other than Karl Barth, who is usually invoked as the key theologian motivating the current renaissance of western-Trinitarian thinking. Barth is widely known for claiming that revelation itself is the root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deed, Barth intentionally places the doctrine of the Trinity at the beginning of his monumental work, that is, Church Dogmatics so that it stands as the basic methodological principle for the rest of his entire doctrines.
    This intentional construction is based on Barth’s resistance awareness against natural theology’s evils exposed by two world wars. In other words, he attempted to block any kind of non-theological approach, namely, natural theology to the knowledge of God that is inherent so much in the western tradition. Here Barth employs the filioque systematically. While Augustine systematizes the filiqoue to enunciate the divine being of the inner trinitarian life and especially the distinctive relations between the Son and the Holy Spirit, Barth practically and systematically uses it to support his argument of the Trinity.
    This exploration is undertaken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Barth's treatment of doctrine of the Trinity. In focusing upon it, I will explore how Barth deals with the Holy Spirit and the filioque within the Christological-Trinitarian frame. Then, I will highlight some evaluations of his pneumatological perspectives and contend that Barth's Trinitarian theology, despite its achievement, has presented in itself typical western difficulties in conceiving the personhood and work of the Holy Spi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