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딜타이와 칼 슈미트의 국가론 (The Theory of the State of Dilthey and Karl Schmid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0.09
38P 미리보기
딜타이와 칼 슈미트의 국가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9권 / 3호 / 5 ~ 42페이지
    · 저자명 : 양해림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딜타이의 국가관과 이러한 딜타이의 국가관에 영향을 받은 칼 슈미트의 국가관을 통해 인간본성의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있다. 딜타이는 목적연관의 관점에서 인간본질을 인간의 전체성에서 파악하고 있으며, 슈미트는 딜타이의 목적연관을 통해 인간본질을 적과 동지로 구분하여 정치적 대립의 측면으로 파악한다. 먼저 딜타이는 「인간, 사회 그리고 국가의 학문사에 대한 연구」(1875)의 논문에서 사회의 실천적 삶으로서 인륜, 법, 경제 그리고 국가에 대해 말한다. 거기서 딜타이는 국가의 본질적인 구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언급을 했다. 먼저 딜타이에게서 사회적 측면에서 자기성찰은 철학 그 자체의 필요에서 나왔다. 딜타이는 문화체계와 사회의 외부기관을 구분한다. 딜타이가 「인간, 사회 그리고 국가의 학문사에 대한 연구」의 논문 등에서 문화체계와 사회의 외부기관을 구분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분은 형식적인 의미만을 갖고 있을 뿐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문화 체계의 속성인 법․인류․예술․과학․경제․종교 등의 자세한 분석은 지면관계상 생략하고, 사회의 외부기관 가운데 사회외부기관인 국가관을 선별하여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현대 헌법학자였던 슈미트(Carl Schmitt, 1888-1985)는 『정치적인 것의 개념』(1932)의 저서에서 딜타이의 국가개념을 선취(先取)하게 된다. 슈미트는 딜타이의 저서에서 인간본성을 도출해 낸다. 슈미트는 딜타이가 인용한 마키아벨리의 정치이론에서 인간의 본성이 악한(böse) 것인가 혹은 선한(gut) 것인가라는 문제는 도덕적‧윤리적 의미를 갖고 있는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필자는 딜타이의 정신과학에서 문화체계와 사회의 외부기관을 구분한 목적연관을 통해 딜타이가 어떻게 국가론을 이해하였는지 고찰할 것이다. 또한 딜타이의 목적론적 국가론에 영향을 받은 칼 슈미트가 어떻게 국가론을 전개해 나갔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필자는 딜타이의 국가론과 그의 국가론에 많은 영향을 받았던 칼 슈미트의 『정치적인 것의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 국가론을 고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nature in more detail through Dilthey's national view and Karl Schmidt's national view influenced by this. Dilthey grasps the human essence from the totality of man from the point of view of purpose-relation, and Schmidt identifies the human essence as enemies and comrades through Dilthey's purpose-relation in terms of political confrontation. First, Dilthey talks about human race, law, economy, and the state as a practical life of society in a paper in "A Study on the History of Human, Social, and National Studies"(1875). There, Dilthey made an important comment regarding the essential composition of the state. In Dilthey, self-reflection from the social side came from the need of philosophy itself. In other words, the task that arose from the necessity of practical life arises from the conflict with pure theory.
    First, Dilthey separates cultural systems from external institutions of society. Although Diltai distinguishes cultural systems from external institutions in society in his papers on the study of academic history of humans, society, and the state, these distinctions have only formal meaning. In this paper, I am a law·humanity·art·Science·economy. Detailed analysis of religion, etc. will be omitted in relation to the paper, and the national view, which is an external social institution, will be selected and examined as the center.
    In the book of The Concept of Politics(1932), Carl Schmitt(1888-1985) preempted Dilthey's national concept. Schmidt derives human nature from Dilthey's book. Schmidt sees that in Machiavelli's political theory quoted by Dilthey, the question of whether human nature is evil or good is not a matter of moral and ethical significance.
    I will examine how Dilthey understood nationalism through the association of objectives that differentiated the cultural system and external institutions of society in Dilthey's psychology. Also, I would like to examine in detail how Karl Schmidt, who was influenced by Dilthey's teleological nationalism, developed the nationalism. Therefore, I would like to consider his nationalism, focusing on Dilthey's nationalism and the "Concept of Politics" by Karl Schmidt, a modern constitutional scholar who was greatly influenced by his nation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