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튜브 ‘사이버 렉카’ 채널의 여성혐오 담론 구성 전략: 비판적 담론분석에 기반한 고찰 (Strategic Construction of Misogynistic Discourse by YouTube ‘Cyber Wrecker’ Channels: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5.06
34P 미리보기
유튜브 ‘사이버 렉카’ 채널의 여성혐오 담론 구성 전략: 비판적 담론분석에 기반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40권 / 2호 / 47 ~ 80페이지
    · 저자명 : 이지형, 김민정

    초록

    본 연구는 유튜브 내 이슈 콘텐츠 채널, 이른바 ‘사이버 렉카’로 불리는 유튜버들이 반복적이고 구조화된 방식으로 여성혐오 담론을 구성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이들이 특정 여성 인물이나 젠더 이슈를 다루는 과정에서 자극적 서사를 통해 여성혐오 정서를 유통하고, 사회적 갈등과 고정관념을 증폭시키는 방식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게시된 영상 중, 유튜브 구독자 수 상위 150개 이슈 콘텐츠 채널에서 선별한 여성혐오 관련 영상 200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제목, 썸네일 텍스트, 스크립트를 중심으로 담론 전략을 분석하였으며, 페어클라우(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틀을 적용하여 텍스트 차원, 담론적 실천 차원, 사회문화적 실천 차원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사이버 렉카 채널들은 텍스트를 전략적으로 구성하여 여성혐오 정서를 유도하고, 감정 선동, 여성 일반화, 발화 주체 위장, 상징어 반복, 댓글 및 실시간 반응을 통한 정서 확산, 여성혐오 정당화 서사를 통해 혐오 담론을 체계적으로 재생산하고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콘텐츠는 성별 고정관념과 직업적 차별, 페미니즘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 등을 통해 성차별적 사회구조를 강화하는 사회문화적 실천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여성혐오 담론을 단순한 개인적 발언이나 일탈적 현상이 아닌, 플랫폼 구조와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구성되고 확산되는 전략적 실천으로 파악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콘텐츠 제작자, 플랫폼, 수용자 간 상호작용을 하나의 담론 생태계로 이해하고, 이에 대응하는 사회적 대응 전략 마련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YouTube issue content creators—commonly referred to as ‘Cyber wreckers’ in South Korea— are strategically and repeatedly constructing misogynistic discourses. In particular,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how these creators frequently reconstruct gender-related controversies and portray specific female figures provocatively, eliciting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and reinforcing gender-based hostil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200 misogynistic videos uploaded between January 1, 2020, and December 31, 2023, by the top 150 issue content channels based on subscribe count. The analysis focuses on video titles, thumbnail texts, and scripts, apply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framework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textual, discursive,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The analysis reveals that, at the textual level, video titles, thumbnail texts, and scripts employ provocative keywords and repetitive rhetorical strategies to evoke emotional reactions and maximize viewer engagement. At the discursive level, misogynistic narratives are reinforced and legitimized through affective interaction with viewers. At the sociocultural level, such content normalizes the surveillance and regulation of women, contributing to the reproduction of sexist ideolog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isogynistic discourse on YouTube should not be dismissed as isolated expression or individual deviance, but must be understood as a strategic practice deeply embedded in platform dynamics and broader sociocultural structures. Additionally, they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interpreting the interactions among content creators, platforms, and audiences as forming a discourse ecosystem, and developing comprehensive societal strategies to address this phenomen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