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유경제서비스 확장에 따른 카풀서비스의 사회적 논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Issues according to Expansion of Carpool Servic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9.09
28P 미리보기
공유경제서비스 확장에 따른 카풀서비스의 사회적 논의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문화연구 / 22권 / 3호 / 19 ~ 46페이지
    · 저자명 : 임은정, 정순희

    초록

    최근 카풀서비스 확대에 대한 택시산업의 반발은 공유경제 확장에 따라 발생한 사회적 갈등으로, 정부, 기업, 소비자 모두의 이해관계가 내포되어있다. 공유경제 내에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효용을 증가시키는 주체 가 소비자인 가운데, 카풀갈등과 문제해결의 공론화에 있어 소비자가 소외되었다는 문제에 착안, 본 연구는 카풀 서비스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사회적 이슈 및 논의양상에 대해 소비자의 관점에서 해석을 시도하였다. 주요한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년간 카풀서비스에 대해 보고하는 언론자료 6,033개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결과, ‘택시서비스공급업(자)’, ‘카풀서비스공급업(자)’, ‘정부 ’가 최상위 단어로 도출되어, 각 주체가 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요한 이해관계자임을 시사한 반면, ‘소비자 ’는 상대적으로 낮은 언급수준을 보였다. 소비자와 사회환경에 대한 카풀의 순기능인 ‘경제성/효 용’, ‘편리(편의)성’, ‘친환경성 ’ 부분보다 산업종사자의 ‘노동문제’, ‘생존권 ’의 언급수준이 월등히 높게 도출되었다.
    둘째, 아이겐벡터 중심성분석 결과에서도, ‘소비자’보다 ‘택시서비스공급업(자)’와 ‘카풀서비스공급업(자)’, ‘정부 ’의 이해관계자의 중심성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또한 택시업 및 종사자의 ‘생존권 ’과 ‘노동문제 ’에 대한 중심성이 높게 나 타났을 뿐 아니라, 택시근무환경 개선에 요구되는 ‘정부지원/보조’, ‘월급제(도입)’, ‘사납금(폐지)’ 등의 중심성이 카 풀서비스에 따른 소비자와 사회적 효용-‘경제성/효용’, ‘편리(편의)성’, ‘친환경성’-보다 높게 분석되어, 카풀서비스 확장에 대한 우리사회의 논의는 공급자 위주의 노동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매개중 심성 분석결과, ‘대중교통/교통수단’의 매개중심성 값이 높게 나타나, 카풀서비스가 도시의 교통난을 해소하고 소비 자 이동권을 강화하는 교통의 문제와 관련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정부의 ‘중재/개입’, ‘비판/비난’, ‘여론 ’의 키워드는 카풀서비스의 각종 문제와 갈등에 대한 정부역할의 사회적 기대수준이 높다는 점과 동시에, 갈등해소의 정부기능에 대한 비판여론이 카풀서비스 확장과 관련한 사회 전체의 논의흐름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셋째, CONCOR 분석 결과, 카풀서비스의 배경이라 할 수 있는 공유경제 시장환경의 변화의 논의와 함께, 시 장참여자별 역할과 수요는 서로 상이한 이해가 혼재된 채 함께 논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재와 지원 역할의 정부, 카풀서비스의 편리성과 경제성을 수요하는 소비자, 고용안정성을 요구하는 택시산업은 서로 다른 이해관계의 특징을 보이고 있어, 통합적 관점에서의 협력적 접근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시장주체의 주요 이해관계와 관련되어 선정된 단어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대한 QAP 분석결과, 택 시 서비스공급자는 소비자에 비해 카풀서비스공급자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카풀서비스 확장에 대한 양 산업 공급자들의 관여와 논의접점이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소비자와 택시서비스공급자와의 낮은 상관 성은 카풀논란에 대한 관여접점이 서로 비슷하지 않아, 공급자간 갈등 외에도 택시서비스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갈등이 또 다른 사회문제가 될 수 있음을 짐작케 하였다

    영어초록

    Recent resistance by the taxi industry to increasing carpool service implies in essence social conflicts according to expansion of sharing economy and it contains interests of the government, enterprises and consumers. Consumers are agents to create a new kind of value added and increase utility in the sharing economy but they are being alienated from public deliberation to solve carpool conflicts and problems. Paying attention to such an issue abov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interpretation of social issues and debates about carpool from a perspective of consumers.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text mining on 6,033 press releases of carpool for 3 years, ‘taxi service industry(provider)’, ‘carpool service industry(provider)’ and ‘government’were derived as top-level words so it suggests these agents are key stakeholders of a social issue but ‘consumers’ were relatively less mentioned. ‘Labor issue’ and ‘right to live’ for employees in the industry were mentioned at an outstandingly higher level than ‘economic efficiency/utility’, ‘usability(convenience)’ and ‘eco-friendly’, positive functions of carpool for consumers and social environments.
    Secondly, analytic results of eigenvector centrality also showed centrality of stakeholders including ‘taxi service industry (provider)’, carpool service industry (provider)’ and ‘government’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consumers’. Besides, not only centrality of ‘right to live’ and ‘labor issue’ for the taxi industry and its employees was higher, but also centrality of ‘government supports/subsidies’, ‘monthly pay plan (introduction)’ and ‘money paid to company (abolition)’ needed for improving a taxi driving environment was higher than that of consumers’ and social utility of carpool-‘economic efficiency/utility’, ‘usability(convenience)’ and ‘eco-friendly. Hence, it shows that arguments about carpool in our society focus on supplier-centered labor issues.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betweenness centrality values of ‘public transportation/means of transportation’ were higher so it reveals that carpool service is connected to transportation issues to solve an urban traffic jam and enhance consumers’ right to move. Furthermore, key words including governmental ‘arbitration/intervention’, ‘criticism/reproach’ and ‘public opinion’ suggest a high level of expectation within a society for government roles in various issues and conflicts of carpool, showing that critical opinions about a governmental function for resolution of conflicts may have a great effect on a flow of debates about carpool in the whole society.
    Thirdly, in addition to discussion about changing environments of sharing economy markets represented by carpool,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the study confirmed that roles and demands of market participants are under discussion with mixed divergent interests. The government playing a role in intervention and support, consumers demanding convenience and economic efficiency of carpool, the taxi industry demanding job security have distinct interests therefore it suggests need for a collaborative approach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Finally, as a result of QAP analysis on network composed of words regarding interests of agents in a market, taxi service providers had a quite higher correlation with carpool service providers compared with consumers, showing that both providers have similar points of agreement in involvement in and discussions about expansion of carpool service. Meanwhile, there is a lower correlation between consumers and taxi service providers.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y have no similar points of agreement in involvement in carpool issues, therefore their conflicts may be another social issue in addition to conflicts between both provid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