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복합어 분석을 통한 불교의 문법학 수용 양상 검토(Ⅱ) - 『구사론』과 『칭우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doption of Sanskrit Grammar through Compound(samāsa) Analysis(Ⅱ): Focusing o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and Sphuṭārthā Abhidharmakośavyākhyā)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0.03
22P 미리보기
복합어 분석을 통한 불교의 문법학 수용 양상 검토(Ⅱ) - 『구사론』과 『칭우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90호 / 267 ~ 288페이지
    · 저자명 : 김현덕

    초록

    야쇼미트라의 『아비달마구사론명료의석』은 바수반두의 『아비달마구사론』의 주석서로서, 18세기 초반 새로이 발견된 이후 근대적인 의미에서의 ‘구사론 연구’를 가능하게 해준 자료로 학계의 관심을 받고 있는 문헌이다. 특히 이 문헌에 도입되어 있는 산스크리트 문법학의 해명은 많은 연구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점으로, 최근까지도 ‘대법(對法)’이라고 한역되었던 ‘아비달마(abhi-dharma)’라는 복합어의 의미를 둘러싼 논의가 이 문헌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바수반두는 『구사론』에서 ‘아비달마’를 세속과 승의의 두 부류로 분류하고 자주(Bhāṣya)에서 어원분석을 통해 ‘자상(自相)을 지닌 달마가 승의법인 열반이나 법상(法相) 쪽으로 향해가기 때문에 아비달마이다’고 정의한다. 이미 남․북전 불교전통에서 ‘법에 대하여’와 ‘뛰어난 법’이라는 의미로 이해되어왔던 이 복합어에 대한 바수반두의 주석은 야쇼미트라의 문법적 지지를 통해 tatpuruṣa(격한정복합어)로 확정되고 있으며 그 의미는 ‘향하는 법(對向法)’이고, 결국 이것이 표시하는 바는 ‘분별지(prajñā)’라는 것이 종래의 대체적인 견해이다.
    본고에서는 복합어 ‘아비달마’에 대한 인식의 재검토와 이것이 문법학적으로 어떠한 논쟁을 불러일으키는지, 그리고 기존 연구들에서 고려하지 않았던 문법 규칙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살펴본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구사론』과 『칭우소』의 내용을 재점검하여 불교에 문법학이 수용되는 양상을 유추하고 주석가 야쇼미트라의 의도를 지지한다.

    영어초록

    Yaśomitra's Sphuṭārthā Abhidharmakośavyākhyā, which was discovered in the early 18th century, is a commentary on Vasubandhu's Abhidharmakośabhāṣya. This literature has received the attention of academia as data that enabled the modern ‘Kośabhāṣya study.’ In pticular, the explanation of Sanskrit grammar introduced in this literature focuses on many researchers, and until recently, there has been active discussion regarding the meaning of compound(samāsa) ‘abhi-dharma,’ which was translated into Chinese as ‘對法.’ Vasubandhu defines ‘Abhidharma’ as two categories of the Supreme (pāramārthika) and the Common (sāṁketika) in the Kośa and as ‘Abhidharma that dharma with self-character is directed toward nirvana or the law-character of Supreme’ through etymological analysis in Bhāṣya. Vasubandhu's annotations about the compound, which have already been understood in the Buddhist tradition of South and North as meaning ‘about the law’and ‘the excellent law,’ are confirmed as Tatpuruṣa through Yaśomitra's grammatical support, and the meaning is ‘the law (dharma) which towards(對向法),’ that is to say ‘prajñā.’ This is the general view within academia so far.
    This study reviews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and Sphuṭārthā based on a previous study that reviewed the recognition of the compound ‘abhidharma,’ the kinds of arguments raised by this from a grammatical point of view, and the kind of grammar rules that have not been considered in the previous studies. Through this, I will infer the aspects of acceptance of Sanskrit grammar in Buddhism and support the intention of Yaśomit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