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트토렌트 저작권 침해행위에 대한 대응방안 연구 - 저작권법상 단순도관서비스의 책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untermeasures against BitTorrent Copyright Infringemen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2.03
33P 미리보기
비트토렌트 저작권 침해행위에 대한 대응방안 연구 - 저작권법상 단순도관서비스의 책임을 중심으로 -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실용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비트토렌트 저작권 침해의 법적 대응 메커니즘 상세 분석
    • 📊 온라인 저작권 침해에 대한 체계적인 학술적 접근
    • 💡 실무적이고 구체적인 대응방안 제시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저작권위원회
    · 수록지 정보 : 계간 저작권 / 35권 / 1호 / 93 ~ 125페이지
    · 저자명 : 안상필

    초록

    우리나라는 급속도로 변화하는 온라인상 저작권 불법 침해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저작권법을 개정하는 등 많은 노력을 해왔다. P2P, 웹하드를 통한 저작권침해가 급증하고 이에 따른 콘텐츠 산업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을 때 정부는 P2P, 웹하드와 같은 서비스를 특수한 유형의 온라인서비스제공자로 지정하여 높은 수준의 기술적 조치를 적용해야만 서비스가 운영되도록 조치하였다. 그렇게 특수한 유형의 온라인서비스제공자를 통한 침해가 감소되었지만, 제도적으로 조치하기 어려운 비트토렌트를 이용한 저작권침해는 꾸준히 지속되어 왔다.
    우리나라 정부와 콘텐츠 산업계에서는 비트토렌트를 통해 이뤄지는 저작권 침해행위에 대응하고자 노력해왔으나, 매번 성과를 거두지 못하게 되었다. 물론 수사기관에서 비트토렌트 공유를 위한 시드파일을 거래하는 사이트 운영자와 범죄 가담자를 입건하는 등의 성과가 있기도 했지만, 실제 콘텐츠를 공유하는 침해자들에 대한 대응까지는 이르기 어려웠다.
    비트토렌트는 공유자들이 가진 신원정보를 확인하기 어렵고, 공유자가 사용 중인 IP(Internet Protocol)주소가 유일하게 파악 가능한 신원정보로 확인된다. 공유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IP는 단순도관서비스(KT, SKB, LGU+ 등과 같은 인터넷서비스제공자)와 별도의 약정을 통해 공유자들에게 할당되는 것이며, 단순도관서비스는 IP를 할당한 공유자 정보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트토렌트 저작권 침해행위에 대한 대응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해외에서 비트토렌트 대응에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조사하고, 우리나라 저작권법상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인 단순도관서비스가 비트토렌트를 통한 저작권침해에 책임을 가질 의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실효적인 비트토렌트 대응을 위해 단순도관서비스와 콘텐츠 산업계에서 추가적으로 검토할 부분이 있는지 제안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working to prevent online copyright infringement by amending the Copyright Act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online copyright infringement. When the damage to the legal content market increases caused by the copyright infringement using P2P and web-hard, the government designated services such as P2P and web-hard as Special types of Online Service Provider(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OSP”) so that the service operates only after applying high-level technical measures. Since then, the copyright infringement using BitTorrent, which is difficult to take institutional action, has continued constantly, even if the infringement through SOSP has been decreased.
    The government and the copyright industry have tried many efforts to respond against the infringement by BitTorrent, but they were not able to achieve results all the time. Although the investigative agency was able to have some results in prosecuting site operators and criminals related to trade seed files for BitTorrent sharing, it was hard to countermeasures against the users who share the original contents.
    BitTorrent is difficult to verify the identity information of the users, and the Internet Protocol(hereinafter referred to as a “IP”) address used by the users is ascertainable as the only identifiable information. The IP used by the users is allocated through a separate contract from the mere conduit service(Internet Service Providers such as KT, SKB, LGU+, etc.) and they have the information of the users which the IP is assigned.
    In this study, in order to study countermeasures against BitTorrent copyright infringement, we would like to research which measures are taken in other countries respond to BitTorrent. Furthermore, let us examine whether the mere conduit service by the online service providers, is responsible for copyright infringement related to BitTorrent under the Copyright Act. Lastly, I would like to suggest whether there are any additional matters to be reviewed by the mere conduit service and the copyright industry against BitTorr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계간 저작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