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대한 인권침해시의 배상 정의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행기 정의의 관점에서 (A Theoretical Study on Reparative Justice in the Case of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itional Justice)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0.06
49P 미리보기
중대한 인권침해시의 배상 정의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행기 정의의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주주의와 인권 / 20권 / 2호 / 79 ~ 127페이지
    · 저자명 : 송에스더

    초록

    오늘날 많은 국제문서들은 국제인권법의 중대한 위반 및 국제인도법의 심각한 위반의 경우 피해자의 구제 및 배상에 관한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2005년 12월 16일 유엔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된 “국제인권법의 중대한 위반행위 및 국제인도법의 심각한 위반행위의 피해자 구제와 배상에 대한 권리에 관한 기본원칙과 가이드라인”이다. 동 원칙은 적절하고 효과적이며 신속한 배상을 받을 권리를 규정하고 있으며, 배상의 형태로 원상회복, 금전배상, 재활 만족, 재발방지의 보장을 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제적 기준에 따라 실질적으로 어떻게 각국에서 배상 정책을 시행할지에 대해서는 국가들에게 판단의 여지가 인정되며,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정해진 것이 없다. 이러한 배경에서 국가가 중대한 인권침해의 피해자에게 공정하고 정의로운 배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배상 정의(reparative justice, 또는 배상적 정의)’에 관한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식 하에, 국가들이 정치적 전환기에 배상 정책을 시행할 때 그것이 정의롭기 위해서는 어떠해야 하는지를 살펴본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대한 인권침해에 있어서의 배상 정의란 무엇이며, 그 내용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있는지를 알아본다. 이를 위해 배상의 목적 및 이념과 관련된 정의의 개념들을 먼저 검토하고, 이후 이행기 배상이 정의롭기 위한 기준 및 특성, 배상의 주체와 비용부담의 문제 등을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배상에 있어서의 이익균형 문제에 대하여 검토한다.
    먼저 이행기 배상의 목적 및 이념과 관련하여 교정적 정의와 응보적 정의, 회복적 정의, 분배적 정의, 변환적 정의를 들 수 있는데, 이들은 각각 상호 보완적으로 기능・작용하며 이행기 배상의 이념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 정의의 이념들은 이행기의 현실에서는 서로 충돌할 수 있는데, 이 때 서로가 조화될 수 있는 균형지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 중대한 인권침해의 경우 피해자의 수가 대규모이고, 돌이키기 어려운 엄청난 피해를 입게 되므로 배상에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일반적인 불법행위의 배상과는 달리 공적이며 정치적인 성격을 띤다. 따라서 이행기의 배상 정의는 피해자 개인에 대한 사법적・교정적 정의를 벗어나, 보다 넓은 차원의 정치적・사회적 정의로 그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즉 사회적 인정과 신뢰, 연대 등 보다 넓은 차원의 정의를 추구하는 정치적 프로젝트로서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정의로운 배상을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일률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으나, UN 및 몇몇 학자들은 “공정하고 적정한 배상(fair and appropriate reparation)”이라는 기준을 제시한다. 또한 정의로운 배상의 특성으로는 완결성과 포괄성, 복합성 및 일관성을 들 수 있으며, 금전배상의 정도에 대해서는 피해자 모두에게 “완전한 배상”을 제공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그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피해자들이 심리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적절하거나(adequate) 충분한(good enough)” 정도의 배상을 대신 제시하는 견해도 있다. 배상의 주체와 관련하여 국가의 인권침해의 경우 법적인 배상책임은 국가에게 있지만, 그 외의 주체에게도 정치적・도덕적 책임이 있다는 견해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중대한 인권침해의 배상 과정에 피해자가 참여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사회적 지지를 확보할 수 있는 장기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배상에 있어 피해자의 이익과 다른 이익들이 충돌하는 경우, 이익 형량과 규범조화적 해석을 통해 관련 이익들이 가능한 최대한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균형을 찾는 것이 배상 정의의 실현에 있어 중요하다.

    영어초록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ransitional justice and reparation in Korean society. Transitional justice refers to various processes and mechanisms that are in place to ensure accountability, serve justice, and achieve reconciliation in a society that is transitioning from conflict to peace and democracy. The mechanisms of transitional justice include both judicial and non-judicial instruments, such as criminal trials, reparation, truth-seeking, and institutional reform. In particular, reparation has special meaning in that it provides a tangible form of justice directly to victims. Today, many international instruments recognize the rights of victims to reparation in the event of gross violations of human rights. Among these, “Basic Principles and Guidelines on the Right to Remedy and Reparation for Victims of Gross Violation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Serious Violation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hereinafter, “Basic Principles”),” which was unanimously adopted by the UN General Assembly on December 16, 2005, has significance. The Basic Principles provide for the right to adequate, effective, and prompt reparation, which includes forms of restitution, compensation, rehabilitation, satisfaction, and guarantees of non-repetition. However, countries have a “margin of appreciation” in terms of how to implement their reparation policies domestically within these international standards, though there are no specific details. Thus, there is a great need for discussion of “reparative justice” in a time of transition. In this study, therefore, we look at what justice should look like when countries implement reparation policies during political transitions. To this end, we initially examine the concepts of justice related to the purpose of reparation. After that, we look at the standards, principles, characteristics of just reparation, and finally, the issue of interest-balancing in reparation. This article, however, does not offer a clear definition of “reparative justice” or provide a generalized formula. Justice has many different forms, so it is impossible to regulate them uniformly; furthermore, such an attempt could lead to injustice. Therefore, reparative justice in individual cases should be further adjusted to the specific situation and context.
    The concepts of justice that pertain to the purpose of reparation in a transition period are corrective justice, retributive justice, restorative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and transformative justice, which are complementary in the development of reparative justice. In the case of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there are a large number of victims who suffer tremendous damages that are hard to recover. Also, unlike compensation for torts in common law, reparative justice has a public and political character, resulting in difficulties in reparation. Thus, reparative justice in a time of transition extends beyond judicial and corrective justice for individual victims to a broader level of political and social justice. In other words, it can be characterized as a political project that pursues a wider level of justice, such as social recognition, trust, and solidarity.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reparative justice are not uniformly set, but the United Nations and some scholars have provided a criterion called “fair and appropriate reparation.” Also, the characteristics of just reparation include completeness, comprehensiveness, complexity, and consistency. In principle, “full reparation” should be provided to all victims, but considering that doing so is almost impossible, there are views that victims should instead be offered with reparation that is psychologically satisfying, meaning compensation that is deemed “adequate” or “good enough.” Moreover, there is an increasing view that the state has legal responsibility for reparation in the case of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but that other subjects also have political and moral responsibilities. In addition, since reparation for serious human rights violations takes tim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to secure long-term social support. Finally, when conflicts exist between the interests of victims and other interests, it is important to find a way to balance and harmonize the relevant interests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realize reparative jus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