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철학 이론을 회절하며 유아놀이 관찰 데이터 읽기: 스카프와의 마주침 (Diffractive Readings of Data from Observation of Young Children’s Play Through Philosophical Theories: Encounters with a Scarf)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2.10
23P 미리보기
철학 이론을 회절하며 유아놀이 관찰 데이터 읽기: 스카프와의 마주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유아교육과정연구 / 12권 / 2호 / 50 ~ 72페이지
    · 저자명 : 이진희, 장윤미

    초록

    본 논문은 스카프와 마주친 만 3, 4세 혼합연령 학급 유아들이 생성해간 놀이를 관찰했던 데이터의 생동성에 주목하면서 철학 이론과 함께/통하여 회절하여 분석한 연구자들의 이야기이다. 연구자들은 교실이라는 시공간 속에서 관찰자와의 만남, 스카프라는 물질의 행위주체성, 유아들의 기억과 욕망,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된 의미들이 함께 얽혀 다른 시공간들, 물질-담론적 놀이들이 생기고 사라지고 접속하고 끊어지고 펼쳐지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Foucault, Deleuze, Barad 등의 이론을 에돌아가며 데이터를 새롭게 배치하면서 내부작용하는 회절적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관찰 데이터의 생명력은 연구자들과 얽혀, 다원적인 이론과 실제, 연구자들의 과거-현재-미래, 유아교실과 대학원 강의실, 인간과 인간 이상의 것 사이-내부를 회절하며 지속적으로 경계를 짓고 허물고 새롭게 접속하며 공간시간물질의미화를 이어갔다. 우리는 이론-데이터-함께-사유하기가 놀이 관찰 데이터에 숨어있던 공간, 시간, 물질, 의미의 얽힘을 조명해줄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라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bout two researchers’ journey of enlivening the vitality of data from observation of young children’s play with scarves in a mixed-age classroom of 3- and 4-year-olds, by diffractively analyzing data with/through philosophical theories. Researchers endeavored to understand how the encounter with the observer, material agency of a scarf, memories and desires of young children, and discovered that socioculturally constructed meanings were all entangled to generate, disperse, connect, disconnect, and enfold heterogeneous spacetimes and material-discursive plays. Diffractive methodology was adopted to reassemble data while diffracting and intra-acting with theories of Foucault, Deleuze, and Barad. The vitality of play observation data was also entangled with the researchers toward spacetimemattering of data diffracted in-between multiple theories and practices, researchers’ past-present-future,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and a graduate school classroom, human and non-human, along with our iteratively drawing/blurring their boundaries, and making new connections. We suggest the thinking-with-theory-data would open doors to illuminating the entanglements of space, time, materials, and meanings embedded in the play observation dat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