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윤숙과 화랑:민족과 국가에 대한 잘못된 가르침 (Mo Yoon-Sook and Hwarang:The Miseducation of the Nation and People of Kore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4.12
24P 미리보기
모윤숙과 화랑:민족과 국가에 대한 잘못된 가르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상연구 / 28권 / 3호 / 45 ~ 68페이지
    · 저자명 : 박균섭

    초록

    모윤숙은 민족과 국가에 대한 충정어린 마음을 문학 작품으로 잘 표현했던 시인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1950)와 「또다른 전선에서 국군을 본다」(1966)는 애국심의고취와 군인정신의 고양을 위한 시의 전형으로 만인에게 회자되어왔다. 하지만 해방 이전의 모윤숙이 역설했던 민족과 국가는 우리가 아는 민족과 국가가 아니었다. 그 때의 민족은 한민족이아닌 대동아민족을 일컫고 국가는 대한민국이 아닌 대일본제국을 일컫는 것이었다. 모윤숙은조선의 청년・학도를 화랑이라는 이름으로 호명하고 그들이 태평양전쟁에서 용감히 싸우다 죽을 것을 부추겼다. 해방이후에도 화랑은 계속 작품의 주제 내지 소재로 등장하였다. 해방 이전의 화랑은 일본군이었으나 해방 이후의 화랑은 국군이었다. 이처럼 모윤숙의 세계관에서 해방이전과 이후의 민족과 국가는 전혀 다른 것이었음에도 그 정체성에 대한 성찰과 조정은 없었다.
    그렇다면 해방 이후, 그리고 6・25를 통과하면서 보여준 애국시는 민족과 국가에 대한 사랑을 말할수록 그것은 더더욱 기만적인 일임을 알 수 있다. 모윤숙을 기리는 많은 이들에게 슬픈 일이지만 모윤숙을 통해서는 민족과 국가에 대한 본연의 사랑을 제대로 가르칠 수 없다.

    영어초록

    Mo Yoon-Sook is famous for her writing with expressing the loyalty of her nationand people of Korea. Especially, <The National Army Say Afterwards>(1950) and<Watching the Army at Another Battle Line>(1966) are well known to our society asa typical patriotic poetry. But it has been misunderstood about her activities. Beforethe liberation of Korea, what she really mentioned was actually all about not theKorean people and the Republic of Korea but the East Asian people and the Empire ofJapan. Mo Yoon-Sook called the youth of Chosun by the name of hwarang whichmeans the elite youth corps of Silla and she inspired them to go to the front and fightto death at the Pacific War.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hwarang was mentioned asthe meaningful theme of her writings. It means that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thehwarang was Japanese army, but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hwarang was Koreanarmy. Mo Yoon-Sook’s view of the world about a nation and people were different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like this. But there was not any reflection or arbitrationon this subject. It makes her poetry more deceptive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ndpassing through the 6・25. Unfortunately, teaching the patriotism by using herperspective is a very wrong t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