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칠지도의 제작 연대 재론 - 丙午正陽을 중심으로 - (Rediscussing the date ofChiljido (七支刀), The Seven-Branched Sword of Baekj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0.02
23P 미리보기
백제 칠지도의 제작 연대 재론 - 丙午正陽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1권 / 42호 / 5 ~ 27페이지
    · 저자명 : 조경철

    초록

    칠지도의 제작연대는 태화(泰和)를 중국연호로 보고 369년 5월 16일 병오로 추정해 왔다. 그리고 5월을 새롭게 11월로 판독한 이후에도 여전히 만든 연대는 태화 4년 369년이었다. 그런데 칠지도의 369년설은 5월 16일과 11월 16일이 모두 병오일이 아니므로 문제가 있다. 특히 369년 5월과 11월에는 병오일이 있다. 5월 27일이 병오며, 11월 30일이 병오다. 따라서 그 달에 병오일이 있는데 그날을 피하여 5월 16일 병오 혹은 11월 16일 병오라 했을 가능성은 적다.
    칠지도의 丙午正陽은 『논형』의 丙午日中이나 한 대 명문에 보이는 丙午時加日中의 일중을 정양으로 바꾼 것이다. 일중이나 정양이 ‘ 화덕(火德)이 성한 날’ 이라는 의미로 별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하지만 용례가 보이지 않는 병오정양의 정양은 일중 이상의 의미가 있다. 정양은 『사기』사마상여전에 나오는 ‘정양현현(正陽顯見) 각오여증(覺寤黎蒸)’ 에서 취한 것으로 황룡을 의미한다.
    황룡은 천하의 중심이므로 지상의 최고 통치자를 말한다. 백제의 왕은 칠지도의 정양이란 문구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드러내고 있다. 『논형』이나 한 대 명문에 병오일중을 쓰지 않고 병오정양이라 썼다는 점을 감안하면 칠지도를 만든 연대도 실연대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칠지도의 제작연대는 11월 16일이 병오인 408년 11월 16일일 가능성이 높으며 그 해는 전지왕 4년에 해당된다. 칠지도 명문의 태화도 중국 연호가 아닌 백제연호로 생각되며 전지왕이 왕위에 즉위하면서 표방한 연호였다.

    영어초록

    Chiljido(七支刀, The Seven-Branched Sword) was made in Baekje[百濟], which is one of the ancient kingdoms of Korea. This sword was given to Wa[倭]. It is currently housed in the Isonokami Shrine [石上神宮] in Nara Prefecture, Japan.
    Up to recently Taewha[泰和] was viewed as the era name of Eastern Chin[東晋] China and regarded Chiljido was made in May 16, 369. But according to gangi[干支] system Chiljido was made in December 16, 408. therefore Taewha[泰和] was not an era of Eastern Chin but an era of Baekje. In fact King Jeunji(r. 405~420) used Taewha to declare his era in celebrating his cornation. Some others say that Baekje has never used an era name. Baekje has not used an era name inWoongjin[熊津] Period and Sabi[泗沘] Period, but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Hansung[漢城] Period has used an era name.
    According to Inscription of Chiljido, Jungyang[正陽] means not only Iljung(日中, at noon) but also a yellow dragon. A yellow dragon is a symbol of am emperor. The fact that Jungyang is a yellow dragon is seen in Sima Qian[司馬遷]’s Shiji[史記]. Therefore Jungyang represents the king’s autho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