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Living Lab Program Reflecting a Play-Based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ing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Playfulness, Sense of Community, So)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5.04
23P 미리보기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5권 / 8호 / 1 ~ 23페이지
    · 저자명 : 조혜영, 송숙진, 최현경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이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지 A병설유치원(실험집단) 14명, B병설유치원(비교집단) 11명의 만 5세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SPSS 23.0을 이용하여 정규성 검증은 Kolmogorov-Smirnova, Shapiro-Wilk로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았다. 비모수 통계방법 중 맨-휘트니 U 검정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Wilcoxon 부호-서열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과 맨-휘트니 U 검정(Mann-Whitney U test)으로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사전 평균점수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는 .87점 부터 2.03점까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집단의 사전 평균점수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는 -.46점 부터 -.03점 감소하거나, .01점 부터 .39점 향상된 것으로나타났다. K-S, S-W를 통해 정규성 검증 결과, 일부 요인(놀이성 전체)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대부분은 유의확률이 .05이상으로 나타난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한 집단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모든 요인에서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검증 결과 일부 요인(놀이성의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유능감 전체)에서 통계적 유의성이나타났지만, 대부분의 요인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 검증 결과,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고,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다. 이에 지역사회의 풍부한 학습환경 제공과 협력을 통해 리빙랩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확장하여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사회적 역량 강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living lab program reflecting a play-based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playfulness and sense of commun ity, social competence, prosociality.
    Methods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4 five-year-olds from A Affiliated Kindergarten (experimental group) and 11 five-year-olds from B Affiliated Kindergarten (comparison group), both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Normality was assessed using SPSS 23.0,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evaluated through the Kolmogorov-Smirnov and Shapiro-Wilk tests.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assess homogeneity be 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 ed-rank test and the Mann-Whitney U test.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t-test mean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by between 0.87 and 2.03 points compared to the pre-test mean scores. Compared to the pre-test mean scores, the post-test mean scores of the comparison group either decreased by between -0.46 and -0.03 points or increased by between 0.01 and 0.39 points. The results of the normality tests using the Kolmogorov-Smirnov (K-S) and Shapiro-Wilk (S-W) tests showed tha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found for some factors (e.g., overall playfulness). However, we confirmed that most factors had p-values greater than 0.05.
    Seco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confirming that the groups were homogeneous. Third, the pre- and post-test difference analysis fo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post-test scores were higher than pre-test scores for all factor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observed. The pre- and post-test analyses for the comparison group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ome factors (e.g., physical spontaneity of playfulness and overall social competence), but no statistical sig nificance was observed in most factors. Fourth,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factor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howing higher score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the potential of play-based curricula that utilize community resour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ways to actively introduce and expand Living Lab programs through the provision of rich learning environments and community collaboration in order to promote holistic development and enhance social competencies in young child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