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평가방법 개선 연구: 일본․미국․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An Improvement on Evaluation Method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cused on the Case of Japan, U.K and U.S.A)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1.02
23P 미리보기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평가방법 개선 연구: 일본․미국․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시아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연구 / 14권 / 1호 / 219 ~ 241페이지
    · 저자명 : 오세경, 한민석, 임병찬

    초록

    지구의 환경문제와 에너지 부족에 대한 관심은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개발에 대한 연구와 적용이 전 세계적으로 계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건축및 도시계획분야에서는 친환경 건축물 인증과 에너지 인증이 시행되고, 지속적인 연구와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를 개정하고 있다.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는건물의 친환경 성능을 평가하고 친환경성능을 제시하여 대상건물을 평가하는도구이며,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주요국가에서 시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가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을 중심으로 최근에 업데이트된 인증제도의 특징 및 평가방법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개선 및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첫째, 친환경건축물인증항목에서 환경관리부문, 보행자 자전거안전부문, 경관부문과 에너지운용체계 관리 부문은 인증항목에 추가적으로 고려해야겠다. 둘째, 한국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에서 에너지부문에 대한 배점을 높게 하는 방향으로 개선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인증기준의 평가 방법에서는 한국의 경우도다양한 등급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Recently, energy and environment problems are serious all over the world.
    Therefore, environmental conferences in international society have held on Rio de Janeiro from UNCED in 1992 upwar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for countermeasure of environmental matters.
    Such developed countries as United States, Japan, Canada and British are to take effect building performance certification criteria what is certification system of environment for promotion in aspects of Green Buildings. Korea is enforcing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GBCC) for multi-unit residential building, mixed-use dwellings, office and school. And now GBCCs for stores and accommodations are under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about standards and assessment of certification systems which are LEED in USGBC since 1993 in United States, BREEAM since 1991 in United Kindom, CASBEE in Japan and GBCC of KGBC in state-run organization since 2002 and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Guidelines’ of Seoul to be recently driven. This study shows that sevaral fators, such as environtmantal management, pedestrian safety, urban scape and ennergy operation system, are considered Korean Green Buil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