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업시민권을 통한 식량주권 실현: 친환경농업 생산자 조사를 중심으로 (Enacting Food Sovereignty through Agrarian Citizenship: Focusing on the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er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5.06
40P 미리보기
농업시민권을 통한 식량주권 실현: 친환경농업 생산자 조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ECO / 19권 / 1호 / 281 ~ 320페이지
    · 저자명 : 이해진, 김선업, 김흥주

    초록

    최근 신자유주의 기업식량체제에 도전하는 식량주권 운동이 대안농식품운동의 핵심 주제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식량주권을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란 문제를 제기하고, 농민들의 사회생태적 관계와 실천에 주목해서 식량주권 실현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농업, 먹거리, 소비자, 환경과의 관계와 변화에 대한 농민들의 태도, 역량, 책임, 실천을 가리키는 농업시민권 개념을 활용해서 친환경농업생산자를 대상으로 경험적 분석을 시도했다. 크게 생산방식, 사회적 관계 및 정체성, 사회정치적 차원으로 범주화한 변수들을 중심으로 친환경농업 생산자들의 농업시민권의 차이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친환경농업 실천수준이 높은 유기농 농민들, 소비자와의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농민들, 다른 생산자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농민들, 농민으로서의 자긍심과 농업 농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농민들, 사회정치적 행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농민들이 농업시민권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중에서도 특히, 친환경 농민들 간의 연대와 농(農)정체성의 강화가 농업시민권을 형성하는데 다른 요인들보다 중요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식량주권 운동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농민들의 연대와 책임의 사회생태적 관계와 성찰적 농업시민권을 강화시키는 주체형성 전략과 실천들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대안농식품체계와 먹거리정치의 주체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실천 전략을 진전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As concerns over the neoliberal corporate food regime are increasing, food sovereignty movement is becoming a main theme of alternative agrifood movements. Given that circumstance, this article aims to address how to build food sovereignty in South Korea. Taking into account the role of farmers as a subject in changing the current food regime and realizing food sovereignty,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the social ecological relationships and practices of agricultural producers. Using the emerging concept of agrarian citizenship, which is referred to as agricultural producers attitudes, capacities, responsibilities, and practices in relations with agriculture, food, consumers and ecology to ensure agroecological food sovereignty, the paper implements empirical analysis based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ers. Examining variables classified with farming practices, social relations, and socio-political categor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differences and formation of agrarian citizenship.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organic farmers who conduct small scale eco-friendly farming, farmers who are closely connected with food consumers, farmers who closely cooperate with other farmers, farmers who have enhanced self esteem and identity as agricultural producers, and farmers who are very active in social and political engagements,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agrarian citizenship. Among these factors, eco-friendly farmers` solidarity relationship and enhanced rural action identity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agrarian citizenship. This article concludes by arguing that farmers need to be considered as a significant subject and agrarian citizenship based on social ecological relations and reflexive agrarian identity should be enhanced in order to develop the food sovereignty move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facilitate the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ractical visions of alternative agrifood movements and food politics in terms of rural action of agrarian citize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ECO”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