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미래 친환경 주거의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Eco-friendly Housing for Sustainable Desig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3.10
12P 미리보기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미래 친환경 주거의 방향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7호 / 467 ~ 478페이지
    · 저자명 : 배정은, 이재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도시는 심각한 대기 및 수질 오염, 녹지 공간의 감소, 교통 소음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도심의 환경 수용력이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 이에 훼손된 환경의 악영향에 직면하여 지속 가능성과 거주성을 회복하기 위한 다각적인 개입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인 이슈이자 화두가 되고 있는 지속 가능한 패러다임 시나리오로 보면 환경에 대한 관심과 문제는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와 변화에 따라 주거의 환경문제에 대해 여러 시나리오가 대두될 것이다. 이에 현세대와 미래세대를 위한 친환경 주거를 지향해야 할 것이며, 미래 친환경 주거의 방향성에 대한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 및 자료조사를 통하여 지속 가능한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여 지속가능성의 전개 양상과 정의를 살펴보았다. 둘째, 지속 가능한 디자인의 핵심 모델과 원칙을 살펴보았으며,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수립하였다. 셋째, 친환경 주거의 방향성을 살펴볼 수 있는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미래 친환경 주거의 특성 및 방향성에 대해 도출하였다. 넷째, 도출된 방향성을 기반하여 미래지향적인 친환경 주거모델과 프로젝트에 나타난 지속가능성과 미래 친환경 주거의 방향성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미래 친환경 주거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한 디자인의 모델과 원칙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수립하였고, 미래 친환경 주거의 방향성을 4가지(첨단기술형, 관계지향형, 건강중심형, 자연친화형)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자연친화형이 가장 높은 특성이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첨단기술형이 높게 나타났으며, 관계지향형과 건강중심형은 동등한 수치로 도출되었다. 이는 미래 주거가 자연과 조화롭게 공존하여 친환경적인 특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을 시사하며, 자연친화적인 요소도 중요하지만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한 주거 개념이 중요하다는 것을 반영한다. 또한, 주거에서 사회적 관계와 건강이 중요하며, 이러한 측면들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결론) 미래의 친환경 주거공간은 지속가능성을 기반하여, 환경과 공간, 양자의 관계성 위에서 기술의 융합을 통해 자가발전하며 지역사회의 관계를 도모하고, 건강증진을 촉진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성을 활용하여 생태적인 친환경 주거에서 더 나아가 미래 지향적인 지속 가능한 친환경 주거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cities are suffering from severe air and water pollution, dwindling green spaces, and traffic noise, pushing the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of urban centers beyond their limits. Faced with the adverse effects of a degraded environment, multifaceted interventions are required to restore sustainability and livability. In recent years, environmental concerns and issues are likely to continue in the sustainable paradigm scenario, which has become a global issue and hot topic. According to the needs and changes of the times, various scenarios will emerge for environmental issues in hou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rsue eco-friendly housing for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and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eco-friendly housing. (Method) First, a theoretical review of the sustainable paradigm i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d data collection to explore the development and definition of sustainability. Second, the core models and principles of sustainable design are examined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sustainable design. Third,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s of future eco-dwellings a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precedent studies that can explore the direction of eco-dwellings. Fourth, based on the derived direction, the sustainability of future eco-friendly housing models and project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eco-friendly housing are analyzed. Fifth,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comprehensive analysis, the direction of future eco-friendly housing for sustainable design is proposed. (Results) In this study, a framework for sustainable design was established based on sustainable design models and principl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stainability paradigm,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eco-friendly housing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green high-tech, community, healthy, and eco-friend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ature-friendly type showed the highest characteristics, the next high-tech type was high, and the relationship-oriented type and health-oriented type were derived as equal figures. This suggests that future housing will coexist harmoniously with nature and emphasize eco-friendly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at nature-friendly factors are also important, but the concept of housing using innovative technologies is important. It also provides implications that social relations and health are important in residential space and that these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Conclusions) The eco-friendly residential space of the future will be based on sustainability and will develop itself through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space, and both, promote community relations, and promote health. By utilizing this diversity, it is expected that we will be able to develop a sustainable eco-friendly housing model that is future-oriented, going beyond ecological eco-friendly hous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