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친환경농업과 대안성 - ‘관행화’가설과 관련하여 - (The eco-friendly agriculture and alternative values - rethinking conventionalization hypothesis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4.12
38P 미리보기
한국 친환경농업과 대안성 - ‘관행화’가설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ECO / 18권 / 2호 / 7 ~ 44페이지
    · 저자명 : 윤병선, 김철규, 송원규

    초록

    1970년대 이후 녹색혁명의 확산으로 농약피해가 심각해지면서 친환경농업이 하나의 대안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후 한국의 친환경농업은 농산물수입개방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의 하나로 육성되었다. 정부의 정책적 개입은 주로 인증제도의 마련과 친환경농자재의 지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그 성과는 친환경농업의 확산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부의 친환경육성정책이 대안적 의미나 가치에 대한 고민보다는 인증중심, 친환경농자재 지원을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친환경농업의 가치지향성이 훼손되는 부정적인 결과도 나타났다. 본 논문은 친환경농업의 대안성에 주목하면서, 현재 한국의 친환경농업을 ‘관행화’ 가설과 관련하여 검토했다. ‘관행화’는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내부의존성, 생태성, 관계성이라는 세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친환경농업이 실제로 농업현장에서 어떤 형태로 대안성을 발현하고 있는지에 관한 분석을 통해서 한국 농업에서 친환경농업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 농업에서 친환경농업이 가지고 있는 대안적 의미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검토했다.
    본 연구는 2014년 7월 10일부터 8월 25일 사이에 전국 일원에서 실시된 친환경농업인 교육에 참여한 생산자 53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설문분석결과 발견한 의미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농업을 통해서 관계성이 강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친환경농업 실천수준이 높은 농가일수록 관계성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직거래비중이 높을수록 관계성이 강화되었다는 응답이 높았다. 둘째, 친환경농업을 통해서 생태성이 강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친환경농업 실천수준이 높은 농민일수록 긍정적인 생태성변화(재배품목의 증대와 재배면적의 증가 등)가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경작면적의 증가와 대안성 사이에는 명확한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친환경농업을 통해서 내부의존성의 강화라는 긍정적 대안성은 발휘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내부의존성의 강화가 나타나지 못한 이유로 친환경농자재지원 중심의 정부정책으로 인해서 농업내부의 순환성이 강화되지 못한 측면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친환경농업을 확대할 의향을 가지고 있는 농민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내부의존성, 생태성, 관계성을 실천하고 있거나 체득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친환경농업은 현대 농식품체계 하의 관행농업에 의해서 파괴한 관계들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볼 때, 한국의 친환경농업이 ‘관행화’을 걷고 있다는 평가를 내릴 수 있는 근거는 희박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자재공급 중심의 친환경농업정책이 갖고 있는 한계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내부의존성 강화를 통한 대안적 가치의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Since the 1970s, harmful effects of agricultural pesticides with the spread of green revolution have resulted in the rise of eco-friendly agriculture by a small number of farmers concerned about nature and life. Afterwards, eco-friendly agriculture has expanded as the government provided support to the eco-friendly farmers as a response to the opening of agriculture market to foreign imports. Governmental intervention was focused mainly on certification system and supply of materials for eco-friendly farming. However, the governmental support has resulted in the undermining of the cause and alternative value of eco-friendly agriculture as it was based on productivist model. This paper, with an attention to the alternative values of eco-friendly agriculture, examined the nation’s eco-friendly farming by testing ‘conventionalization hypothesis.’ In other words, we analyzed how the alternative values of eco-friendly agriculture contributed to the actual farming scenes, thereby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eco-friendly farming in Korean agriculture. And based on the evaluation, we reviewed the meaning and sustainability of the alternative values of eco-friendly agriculture in the context of overall Korean agriculture.
    The data used in this research is based on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from July 10 to August 25, 2014 for 538 farmers participating in eco-friendly education programs which were held throughout the na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we obtained the following significant findings. First, eco-friendly agriculture has strengthened relationship. Farmers with higher level of practicing eco-friendly farming tend to have stronger relationship with the consumers. In particular, most of respondents said that as the rate of direct trade increased, relationship became more solid. Second, eco-friendly farming has led to improvement in ecology. Farmers with higher level of practicing eco-friendly farming experienced positive change in ecology (i.e. increase of the number of eco-friendly crops and size of farming land, etc.).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 definite relationship between farming land increase and the alternative values. Fourth, eco-friendly agriculture has not generated a positive result in terms of internal-dependence. That may be attributed to the government’s heavy focus on supporting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from market, resulting in stagnation of internal circulation of agriculture. Fifth, farmers who wished to expand eco-friendly farming have relatively higher level of internal-dependence, ecology, and relationship.
    In short, it is expected that eco-friendly farming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restoring relations that were damaged by conventional farming methods under the modern agri-food system. Based on what we found, we conclude that the ‘conventionalization’ of eco-friendly farming in Korea has not taken place. Yet, in order to heighten the sustainability, eco-friendly farming needs to improve internal-dependence by decreasing the farming material provided by the market via government poli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