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친환경생산 농가의 이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furcation of the Eco-friendly farms in Korea)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1.04
20P 미리보기
한국 친환경생산 농가의 이분화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제학회
    · 수록지 정보 : 산업경제연구 / 34권 / 2호 / 263 ~ 282페이지
    · 저자명 : 윤병선, 서대교

    초록

    본 연구는 농림어업조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친환경 생산농가의 이분화 여부를 살펴보고, 문제 해결의 방안을 찾고자 한다. 친환경농업은 물질순환, 생물다양성, 농업생태계 건강성, 토양생물 활성화 등 자연 생태계의 원리에 기반한 농업의 포괄적인 생산관리체계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친환경농업이 확산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포괄적인 가치체계가 경제적 이해에 압도당하면서 본래의 지향점을 상실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2016년부터 저농약인증이 폐기되면서 많은 농가가 관행농업으로 돌아서서 친환경농업의 절대적인 위축도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하여 매출액 규모가 큰 농가가 친환경농업을 주도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한국의 친환경농업에서 이분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이분화 현상은 저투입·내부순환·자연공생이라는 친환경농업의 지향점과는 다른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분석에 사용된 자료가 친환경 생산농가에 대한 직접적인 자료가 아닌 친환경농산물 전문유통업체를 통해서 판매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친환경 생산농가이면서 친환경농산물 전문유통업체를 통해서 판매하지 않는 농가가 누락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분석의 한계가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친환경농업의 이분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인증제도나 참여인증제도의 도입 등 대안의 마련이 시급하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farms that have been sold to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companies since 2010. Eco-friendly agriculture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agriculture can be defined as a comprehensive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of agriculture based on the principles of ecosystem such as material circulation, biodiversity, health of the agricultural ecosystem, and activation of soil organisms. However, in the process of spreading eco-friendly agriculture, criticism has been raised that the aspect of income improvement was emphasized rather than this value aspect, and the original goal was lost. Moreover, with the abolition of the low-pesticide certification from 2016, many farmers have turned to conventional agricul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current eco-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from a result-based third party certification system to a process-oriented PGS(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 and to introduce a regional certification system that can make this easier.
    This study shows the bifurca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e in Korea by revealing that farmers with large sales figures are leading eco-friendly agriculture. This bifurcation can be said to be likely to go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direc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e such as low input, internal circulation, and natural symbiosis. However, since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are not direct data on eco-friendly farms, but target farms sold through specialized distributor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arms that are eco-friendly producers and are not sold through specialized distributor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may be omitted. Although the analysis is limited in that regard, this study explains that the bifurca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e in Korea is progressing and that to solve the problems, it is urgent to prepare alternativ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local certification system or P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산업경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