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경을 가르치는 조직신학의 가능성에 대한 일고찰 - 체계(System), 보편논제(Loci), 그리고 신앙의 규범(Regula Fidei)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 of Systematic Theology Teaching the Bible - System, Loci, and Regula Fidei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2.10
32P 미리보기
성경을 가르치는 조직신학의 가능성에 대한 일고찰 - 체계(System), 보편논제(Loci), 그리고 신앙의 규범(Regula Fidei)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103권 / 35 ~ 66페이지
    · 저자명 : 김재윤

    초록

    조직신학은 신학의 한 분과로서 성경 자체를 가르치는 임무를 감당해야 한 다. 이를 위해서 조직신학은 전체 성경을 어떤 체계(systemacity) 속에 담아야 한다. ‘체계’(system)라는 학문적 용어는 칸트 이후 모든 학문의 공통적인 방 법론이 되었다. 챨스 하지는 이런 흐름 속에서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이라는 용어를 차용했다. 하지는 ‘체계’가 가지는 관념적 성격을 배 제하고 성경 안에서 하나님의 ‘체계’를 발견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체 계’가 추구하는 하나의 개념 혹은 하나의 관념아래에서의 일관된 체계는 유 기체적으로 자체 재생산되면서 성장하는 닫힌 것이 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 체계외의 다른 것이 외부에서 더해지기 어려운 폐쇄적인 성격을 가지게 된다. 이런 폐쇄성을 극복하는 모델로 칼뱅이 도입해서 발전시킨 ‘보편 논제 (loci)’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칼뱅은 일차적으로 성경 본문 자체를 ‘보 편 논제(loci)’라고 정의한다. 한편으로 칼뱅은 성경을 주해할 때 항상 저자의 의도(consilium)-가르침(doctrina)-유익(usus)을 얻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성경 저자의 의도(consilium)로부터 어느 정도 일반적인 성격을 가진 가르침 (doctrina)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다만 칼뱅은 성경 주해 작업에서 받게 된 가르침(doctrina)을 성경 주석서가 아니라 이와 구분하여 기독교강요에서 논 제 형식으로로 담고자 하였다. 따라서 칼뱅의 조직신학 저서가 된 기독교강 요가 다루는 논제들(loci)은 성경 밖에 미리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성경 주 해 작업에서 계속해서 발견되는 가르침에 대해서 개방적일 수 있다. 마지막 으로 ‘신앙의 규범(regula fidei)’으로서의 조직신학을 정의해 볼 수 있다. 여 기서 조직신학은 성경을 읽는 것과 동일한 유익을 추구한다. 교회를 개혁하 고 세우는 현장에서 사용되며 성경 본문의 해석을 성경 전체의 잣대에 어긋 나지 않도록 한다.

    영어초록

    Systematic theology, as a department of theology, has the task of teaching the Bible itself. To this end, systematic theology must contain the entire Bible in a systemacity. The term ‘system’ has become a common method- ology of all academic disciplines since Kant. In this context, Charles Hodge used the term ‘Systematic Theology’ even though he tried to discover God’s ‘system’ in the Bible by excluding the ideological character of the ‘system’. ‘System’ tries to maintain a consistent system under one idea or under a single concept. Here, system has to be closed because it is organically self-renewing and growing. It has a closed character that is difficult to add from the outside. As a model for overcoming this closed systemacity, we can consider the ‘loci’ introduced and developed by Calvin. Occasionally, Calvin defines the biblical text itself as ‘loci’. Calvin believed that the con- silium(author’s intention)-doctrina-usus(benefits) should always be obtained when expositing the Bible. He sees that doctrina can be derived from consilium. However, Calvin tried to contain doctrina which he got from bible exegesis in the form of loci in Institutes, not in his commentaries. Thus, loci contained in Calvin’s Institutes can be open to doctrina that continue to be found in the work of exegesis of the Bible. Finally, systematic theology can be defined as ‘regula fidei’. Here, systematic theology pursues the same benefits as reading the Bible. Systematic theology should be used in the field of reforming and establishing the church. On the other hand, it serves as a yardstick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ical text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whole of the B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경과 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