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고령층의 부모수발 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A Longitudinal Study on th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Aged according to the Caring Behavior for the Parents : the Application of Growth Potential Model)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1.03
32P 미리보기
중고령층의 부모수발 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인복지연구 / 51호 / 215 ~ 246페이지
    · 저자명 : 임정기, 홍은진

    초록

    본 연구는 2005년, 2007년, 2009년 국민노후보장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수발행위가 삶의 만족도 및 그 변화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2005년 기준으로 만 50세 이상 가구원이 있는 전국 5,000여 가구와 그 가구에 속하는 8,600여 가구원이며, 분석방법은 조사년도별 횡단분석과 수발 여부별 삶의 만족도의 변화를 보고자하는 종단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횡단분석에는 빈도 및 기술적 통계, 그리고 수발 여부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교차분석 및 집단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단분석에서는 수발 여부가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부모부양 및 수발집단의 경우 모친의 생존여부가 부친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동거 여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부모 수발 여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가 나이 듦에 따라 가족이 수발의 필요성으로 다시 동거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동거부모의 건강상태 및 경제상태는 부친에 비해 모친의 건강상태를 훨씬 나쁘게 인식하고 있어 부모부양 및 수발에 있어 성별 차이에 따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음 노인부양 및 수발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체로 부모수발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여성이, 학력수준이 낮은 편이, 배우자가 있는 경우, 가구주인 경우, 도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가계소득이 낮은 경우, 가구원수가 많은 경우, 수발자의 평균연령이 높은 경우로 나타났다. 또한 수발하고 있는 경우에 수발자의 육체적 심리적 건강상태가 매우 나쁘거나 좋지 않은 편이라고 인식하는 비율이 다소 높았으며 삶의 만족도의 경우에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사대상자의 수발 여부가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종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잠재성장분석을 한 결과 부모수발 여부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수발을 하고 있지 않은 집단이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는 수발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변화율에 있어서는 수발 여부별 개인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즉, 수발 여부는 노년기 초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후 부모수발집단이 비수발집단에 비해 시간이 지날수록 삶의 만족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미성은 없었다. 따라서 수발하지 않는 경우가 수발하는 경우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며 수발하지 않는 경우 삶의 만족도 증가율이 더 크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수발기간의 시간이 길수록 삶의 만족도가 더 크게 감소한다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aring behavior for elderly parents on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data of the 2005, 2007 and 2009 Korea Retirement and Income Study. Approximately 5,000 households and 8,600 members of the households were investigated, and the selected households included members of ages 50 and above in 2005.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made by year, and a longitudinal analysis was conducted as well to keep track of the relationship of caring to change in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In the case of the group of people who took care of elderly parents, the number of families with mothers who were alive was by far greater than that of families in which fathers were alive. There was an increase with the lapse of tim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lived with their elderly parents under the same roof, and there was a gradual decrease over time in the number of those who took care of their elderly parents. In regard to the factors affecting the maintenance and caring of the elderly, the average age of the caregivers who were female, less educated, had spouses, were the heads of households, resided in urban areas, had smaller income and a larger family was higher.
    Finally, the data of the longitudinal analysis were analyzed by utilizing a growth potential model to see how caring affecte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whether to take care of elderly parents or not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nd those who didn’t take care of elderly parents expressed higher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ose who didn’t take care of parents expressed higher life satisfaction, and that there was a greater increase in life satisfaction when they were not taking care of elderly parents. It seems to imply that there was a bigger decrease in life satisfaction when they took care of parents for a longer period of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인복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