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고령층 학력인정 문해교육기관 운영 활성화 연구- 충북 학력인정 문해교육기관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revitalizing the operation of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recognized by middle-aged and older adults- Focusing on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recognized by chungbuk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3.11
25P 미리보기
중고령층 학력인정 문해교육기관 운영 활성화 연구- 충북 학력인정 문해교육기관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년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노년교육연구 / 9권 / 2호 / 126 ~ 150페이지
    · 저자명 : 민미경, 김영옥

    초록

    본 연구는 중고령층 학력인정 문해교육기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2013년부터 학력인정 문해교육기관을 운영하기 시작하여 2022년 기준 9개 기관에서 초등, 중등학력 문해교육 과정이 운영되고 있는‘충북의 문해교육기관’이 연구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사례로 선정하고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활발하게 운영되는 시설 유형이 다른 4개 기관을 대상으로 인터뷰 대상자 13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 번째, 충북지역 학력인정 문해교육 체제 구축 방안으로 조례 제정, 문해교육 전담 평생교육사 배치, 학력인정 잠재수요자 파악 관리 지원시스탬 구축, 문해 교원 및 문해교사의 의식 함양 교육 추진, 민간과 공공이 함께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해야할 것이다. 두 번째, 충북 문해교육 기관 운영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 학력인정 문해교육에 대한 국가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홍보와 기관에서의 다양한 홍보방법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중고령 학습자들이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근거리 학습공간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모사업 형태의 예산이 아닌 지속적으로 지원될 수 있는 본 예산 형태의 재정 확보가 되어야 한다. 넷째, 학습자간 동질감, 상호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공동체 학습 수업 형태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습 동기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학습자가 다양한 교육을 경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 교육내용과 관련된 어플 등 교육콘텐츠의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력인정 문해교육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한 사회적 저변 확대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began operating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recognized by academic background in 2013 in order to suggest ways to revitalize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recognized by middle-aged and older people. As of 2022, 9 institutions are operating literacy education course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was judged to be suitable for the research purpose, so it was selected as a case a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13 interviewees were selected from four actively operated institutions with different types of facilitie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way to establish a literacy education system for academic achievement recognition in the Chungbuk region, enactment of an ordinance, deployment of lifelong educators dedicated to literacy education,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support system to identify potential demand for academic qualification recognition, promotion of education to raise awareness of literacy teachers and literacy teachers, and governance where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work together. will need to be built. Second, as a plan to revitalize the operation of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first, active promotion of literacy education recognized by academic qualifications at the national level and research on various promotion methods in institutions are necessary. Second, there is a need to expand nearby learning spaces to make it easier for middle-aged and older learners to access. Third, financing must be secured in the form of a main budget that can be continuously supported, rather than a budget in the form of a public offering project.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ucture the class in the form of a community learning class so that a sense of identity and mutual relationship can be formed between learners. Fifth, it is necessary to plan learner-centered programs to strengthen learning motivation, develop curriculum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experience various education, and develop educational content such as apps related to educational content. Last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ocial base to change the perception of literacy education recognized by academic qualif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년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