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두주위오목으로의 망막탈출에 의한 시신경섬유층 결손 1예 (A Case of Retinal Herniation through Peripapillary Pit Resulting in Retinal Nerve Fiber Layer Defect)

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8.07
6P 미리보기
유두주위오목으로의 망막탈출에 의한 시신경섬유층 결손 1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 / 59권 / 7호 / 691 ~ 696페이지
    · 저자명 : 박재용, 오원혁

    초록

    목적: 녹내장의증으로 경과 관찰하던 환자에서 유두주위오목이 커지면서 그 방향으로 망막이 탈출하여, 시신경섬유층 결손과 함께 연관된 시야장애가 나타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4세 남자 환자가 녹내장의증으로 본원 녹내장 클리닉으로 의뢰되었다. 환자의 안압은 우안 15 mmHg, 좌안 14 mmHg였다. 굴절이상은 구면렌즈대응치로 우안 -12.75디옵터, 좌안은 -11.50디옵터였으며, 안축장은 우안 28.70 mm, 좌안 28.15 mm였다.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는 양안 모두 정상 범위 안에 있었다. 양안에서 유두주위오목이 관찰되었으며, 최대수평직경은 우안 155 μm, 좌안 625 μm였다. 2년 뒤 시행한 빛간섭단층촬영에서 우안 유두주위오목은 239 μm로 커지면서 그 방향으로 망막이탈출하여 시신경섬유층결손 및 이에 상응하는 시야장애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좌안 유두주위오목에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유두주위오목이 있는 녹내장 또는 녹내장의증 환자에서 유두주위오목 방향으로 시신경섬유층결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면밀한 경과관찰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glaucoma suspect with peripapillary pit, which enlarged in size with retinal herniation through the pit, and resulted in retinal nerve fiber layer defect and corresponding visual field defect.
    Case summary: A 34-year-old male was referred to our glaucoma clinic for glaucoma evaluation. The intraocular pressure was 15 mmHg in the right eye and 14 mmHg in the left eye. The refractive error in spherical equivalence was -12.75 diopters (D) in the right eye and -11.50 D in the left eye. The axial length was 28.70 mm in the right eye and 28.15 mm in the left eye.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was within normal limits in both eyes. A peripapillary pit was found in both eyes, which measured 155 μm in the right eye and 625 μm in the left eye in maximal horizontal diameters. Two year follow-up OCT images showed that the peripapillary pit in the right eye enlarged to 239 μm and retinal herniation occurred through the pit, resulting in a retinal nerve fiber layer defect and a corresponding visual field defect. However, the peripapillary pit in the left eye had no significant change.
    Conclusions: Glaucoma patients or suspects, with peripapillary pits need close observation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a retinal nerve fiber layer defect in the direction of the p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안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