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골 주위 피하층에 발생한 결절성 근막염의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Nodular Fasciitis in Perizygoma Subcutaneous Area)

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1.12
4P 미리보기
관골 주위 피하층에 발생한 결절성 근막염의 증례보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 35권 / 6호 / 359 ~ 362페이지
    · 저자명 : 양동현, 차인호, 양우익, 김진, 육종인, 김현실

    초록

    Nodular fasciitis is defin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s a benign proliferative fibroblastic lesion. It was first described in 1955 by Konwaler et al. and also known as “nodular pseudosarcomatous fasciitis” and “infiltrative fasciitis”, which reflect the lesion’s rapid growth, dense cellularity, alarming mitotoic activity and lack of circumscription. Here, we report a case of nodular fasciitis,which appeared as subcutaneous mass of right perizygoma area in 40-year-old Korean female. She had no history of trauma or cosmetic surgery related with the lesion. She disclosed that the mass grew rapidly for last 2 months. Computed tomography showed relatively well-defined spherical mass with 1.2 cm in diameter. Under local anesthesia the mass was resected by intraoral approach.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a relatively poor-dermacated mass with high cellularity, which was composed with infiltrative spindle-shaped cells without accompanying inflammatory reactions. The tumor cells were partially positive for α-smooth muscle actin and β-catenin, but negative for cytokeratin AE1/3, S-100, desmin, and CD34. Therefore, the lesion was pathologically diagnosed as nodular fasciitis. Although nodular fasciitis is known to pseudosarcomatous benign reactive lesion, the clinician need to follow up the patient periodically. The reasons are as follows; Nodular fasciitis may accompany nuclear accumulation of β-catenin, which imply neoplastic process rather than reactive process of the lesion. Moreover, it has many histological similarities with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which have malignant transformation tendency. Further research for mesenchymal tumor could help our understanding for the disease entity of nodular fasciitis.

    영어초록

    Nodular fasciitis is defin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s a benign proliferative fibroblastic lesion. It was first described in 1955 by Konwaler et al. and also known as “nodular pseudosarcomatous fasciitis” and “infiltrative fasciitis”, which reflect the lesion’s rapid growth, dense cellularity, alarming mitotoic activity and lack of circumscription. Here, we report a case of nodular fasciitis,which appeared as subcutaneous mass of right perizygoma area in 40-year-old Korean female. She had no history of trauma or cosmetic surgery related with the lesion. She disclosed that the mass grew rapidly for last 2 months. Computed tomography showed relatively well-defined spherical mass with 1.2 cm in diameter. Under local anesthesia the mass was resected by intraoral approach.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a relatively poor-dermacated mass with high cellularity, which was composed with infiltrative spindle-shaped cells without accompanying inflammatory reactions. The tumor cells were partially positive for α-smooth muscle actin and β-catenin, but negative for cytokeratin AE1/3, S-100, desmin, and CD34. Therefore, the lesion was pathologically diagnosed as nodular fasciitis. Although nodular fasciitis is known to pseudosarcomatous benign reactive lesion, the clinician need to follow up the patient periodically. The reasons are as follows; Nodular fasciitis may accompany nuclear accumulation of β-catenin, which imply neoplastic process rather than reactive process of the lesion. Moreover, it has many histological similarities with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which have malignant transformation tendency. Further research for mesenchymal tumor could help our understanding for the disease entity of nodular fasciit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