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정희정권 시기 지식층의 대만 農政 인식과 그 변화 (Perception and its Change of Korean Intellectuals on the Agricultural Policy in Taiwan during Park Chung-hee Government)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4.09
41P 미리보기
박정희정권 시기 지식층의 대만 農政 인식과 그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아세아연구 / 57권 / 3호 / 7 ~ 47페이지
    · 저자명 : 정태헌

    초록

    1960년대 들어 대만과 한국은 역사적 경험이나 최전방 반공국가라는 측면에서 공통점이 많아 중요한 비교대상이 되었다. 양국은 특히 중농정책-농공균형정책과 저곡가-저임금에 기초한 공업과 수출 정책이라는 큰 차이를 보였다. 한국 지식층은 대만 사례를 통해 한국 농업(정책)이 변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60년대 초 한국 지식층에게 비친 대만은 ‘부유함’에 대한 부러움, 그리고 배워야 할 대상이었다. 점차 양국 경제의 환경 차이가 주목되었다. 대만은 ‘본토인’이 소지한 막대한 자금과 금지금, 높은 기술력과 교육수준, 투자와 해외판매망으로 대만경제에 기여하는 화교의 존재, 농업에 유리한 자연환경 등 한국과 원초적 차이가 존재한다고 지적되었다. 일당독재체제를 부유한 경제를 만든 우호적 환경으로 이해하는 시각과 농업발전을 위해 농협의 상향식 민주화가 농업발전의 “상책”이라는 주장이 혼재되어 나타나기 시작했다.
    1963년 이후 언론은 대만 농정의 출발점인 철저한 토지개혁을 주목했다. 1960년대 지식층에게 대만의 토지개혁 자체를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은 흔치 않았다. 그만큼 당시에는 한국 농지개혁의 한계나 농업을 희생한 공업화 수출정책의 문제에 대해 공감대가 넓었다.
    대만 토지개혁에 대한 선망은 농공균형성장(농업소득 증대→농업생산재, 생필품, 내구재 등 공업제품 수요 촉진→공업성장 기여)의 모델로 대만을 인식하게 되었다. 국민당 일당독재의 해독을 중화시키고 대만의 경제발전을 뒷받침한 상향식 農會도 주목대상이었다. 한국 농업이 대만을 따라가려면 관료적 농협의 체질개선과 상향식 민주제로의 개편이 당시 “농본한국의 크나큰 숙제”이자 당면과제로 인식되었다.
    유엔에 ‘중공’이 가입하고(1971.10.25) 축출된 대만이 맞은 최대의 국제정치적 위기를 극복한 동력으로 ‘민생우선’, ‘소득균배’ 정책의 성과가 주목되었다. 한국경제의 관건도 농업문제, 중소기업문제 해결에 있고 고도성장정책을 균형성장정책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1970년대 들어서면서 대만의 ‘농촌개발→공업화’ 경로와 달리 한국은 ‘공업화→농지개발’로 중점을 옮겨 확실히 다른 경로가 고착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대만 배우기’를 벗어나기 시작한 것이다. 1970년대 후반에는 재벌-대기업의 효율성과 대기업 중심 경제정책을 옹호하면서 대만경제 비판론까지 제기되었다. 대만을 능가하는 경제성장으로 대기업 위주 정책이 효율성이 높다는 ‘자신감’은 대만의 일당독재를 안정적 경제성장의 우호적 환경으로 보기도 했던 1960년대 지식층 일부의 대만 인식과 함께 유신체제 구축의 동력으로도 작용했을 것이다.

    영어초록

    Taiwan and Korea which had similar historic experience became a crucial example of each other in the 1960s as front-line anticommunist nations. Korean intellectuals pushed for innovating the agricultural policy in Korea, making a model of Taiwan. The agricultural policy in Korea presented a striking contrast to that in Taiwan; the latter was based on the agriculture first policy and agriculture-industry parallel policy, the former putting emphasis on the export-oriented economic policy dependant on conglomerates founded on a low-grain price and low-wage policy.
    In the early 1960s, Korean intellectuals considered Taiwan, wealthier than Korea at that time, as a role model. First, they took note of differences of economic environments between Korea and Taiwan. Generally, it was pointed out that Taiwan had huge amounts of money of Mainland Chinese, high technology, high educational level, overseas Chinese and the favorable environment for agriculture and was basically different from Korea. However, understanding about the main factor which made Taiwan affluent was diverse; some indicated that the factor was the one-party dictatorial system, others paying attention to the bottom-up system, democratic, of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After 1963, the Land Reform, the starting point of agricultural policy in Taiwan, became to receive attention by the Korean press; there was widespread criticism, to that extent, of the drawback to the Land Reform in Korea and the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policy which victimized agriculture. The envy towards the Land Reform in Taiwan led to the perception of the agriculture-industry parallel development. Improvements of habitude to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bureaucratic, and its reform to a democratic and bottom-up system became accepted as current issues for Korean new economic structure which would be based on agriculture-first principle, the bottom-up Agricultural Association which had mitigated the damage of the one-party rule of the Kuomintang and contributed to the economic growth of Taiwan noticed. Then, the result of the livelihoods of the public-first policy and the income-division into equal parts policy, the force for overcoming the most dangerous international political crisis, Taiwan expelled from the UN on October 25th, 1971, was noted. It was argued that the key point of Korean economy was also how to solve agricultural and small businesses problems, and the policy of high economic growth should be altered to the policy of balanced growth.
    Nevertheless, unfavorable opinions of the domestic market-oriente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was revealed in the mid-1960s when the export-oriente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began to have an effect on the growth of economy, and the perception of modeling Korean economic policy on Taiwanese economic policy was suddenly turned in 1970s; it was contended that the Korean course from industrialization to development of farmland, dissimilar to the Taiwanese course from rural development to industrialization, had already been fastened. Confidence in the economic policy dependant on conglomerates which had provided a backdrop for Korea's economic growth which had surpassed Taiwan's might power the construction of the Yusin System along with the perception of some Korean intellectuals on Taiwanese economy that the one-party dictatorship had supported the economic growth in Taiwan. As well, the confidence became to enlarge the criticism around Taiwanese economy itself in the late 1970s, the economic policy dependant on conglomerates and its effectiveness advoc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