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漢의 沃沮 지배와 토착 지배층의 동향 (The Han Empire’s Domination over Okjeo Area and the Response of Local Elite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4.12
45P 미리보기
漢의 沃沮 지배와 토착 지배층의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7호 / 246 ~ 290페이지
    · 저자명 : 이승호

    초록

    1958년 평양시 낙랑구역에서 발견된 정백동 1호분에서는 銀으로 주조된 인장 하나가 출토되었는데, 그 印文에는 「夫租薉君」이라는 네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여기서 ‘夫租’는 곧 沃沮를 뜻하며, 이를 통해 이것이 기원전 1세기 무렵 활동하였던 옥저 지역의 토착 거수 夫租薉君의 무덤임을 알 수 있다. 본고는 이 夫租薉君에 대한 분석을 실마리 삼아 기원전 1세기 무렵 漢의 지배 속에서 옥저의 토착 지배층이 어떻게 대응하여 나갔는지 그들의 동향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부조예군이 활동하였던 시기는 기원전 1세기 전반기로 당시 옥저 지역은 玄菟郡의 관할 하에 놓여있었다. 부조예군은 이러한 현도군의 통치에 협조하면서 토착 지배층으로서 지역 사회에서의 사회적 지위를 이어나갈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그는 기원전 75년 무렵 현도군의 퇴축과 동부도위의 설치라는 옥저 지역의 격변기를 맞아 낙랑군으로 거주지를 옮겨오게 된다. 그러나 부조예군의 무덤인 정백동 1호분에서 출토된 다량의 부장품들을 통해 볼 때 그는 생을 마감할 때까지도 낙랑군에서 매우 높은 사회적 지위를 향유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무덤에서 많은 양의 무기류가 출토되었던 점을 통해 볼 때 생전의 정치적 위세는 대단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렇다면 부조예군은 무슨 연유로 낙랑 지역에 옮겨오게 된 것이며, 또 그가 새로 옮겨온 낙랑 사회에서도 지속적으로 높은 사회적 위치를 향유할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이었을까. 기원전 75년 무렵 夷貊의 침입 속에 현도군이 붕괴하자 漢은 당시 안정적으로 운영되던 樂浪郡에 옥저 지역을 편제시키고 한층 긴밀한 군현 지배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토착 지배층 중심의 자치력이 작동하던 옥저의 재지 사회는 더 이상 설 자리를 잃게 되었지만, 부조예군을 비롯한 유력 토착 지배세력은 오히려 이와 같은 郡縣 정책에 적극 편승하였다. 무덤에서 발견된 「夫租薉君」 銀印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는 유물로서 낙랑군이 옥저 사회를 재편하는 과정에 협조한 옥저의 토착 지배층에게 내렸던 賞賜品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즉 옥저의 유력 토착 지배층들은 낙랑군 중심의 지배 체제 개편에 협조하면서 낙랑 사회 내에서도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이후로도 낙랑군의 沃沮 지역 통치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In 1958, a silver seal was excavated in Jeongbaekdong Tomb No. 1 in Nangnang District, Pyeongyang. There is four-letter inscription on the seal which reads ‘Bujoyegun (夫租薉君)’. Since ‘夫租 (Bujo)’ means ‘沃沮 (Okjeo)’,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person buried in the tomb is a local elite of Okjeo from the 1st century B.C., Bujoyegun.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how the local ruling class of Okjeo area coped with the Han Empire’s Domination over the area in the 1st century B.C., by examining relevant materials to Bujoyegun.
    In the early 1st century B.C., the period of Bujoyegun, Okjeo was under the control of Hyeonto Commandery (玄菟郡) of the Han Empire. Bujoyegun seems to have been able to maintain his social status as a local elite in the area by helping the Hyeonto administration. However, at around B.C. 75, he had to move his residence to Nangnang Commandery (樂浪郡) when Okjeo witnessed Hyeonto’s abolition and the installation of Dongbudowi (東部都尉). The vast amount of grave goods, especially numbers of weapons, unearthed from Jeongbaekdong Tomb No. 1 suggests that Bujoyegun could manage his superior social and political status in Nangnang area until he died.
    The surroundings of Bujoyegun’s migration and his unchanged high social status still need to be elucidated. Due to the invasion of Yemak (夷貊) at around B.C. 75, Hyeonto Commandery was collapsed and, therefore, Han merged Okjeo into more stably managed Nangnang Commandery to strengthen its control over the area. Amid this political shift, the ruling class of Okjeo lost its social foundation. However, some influential local elites such as Bujoyegun actively assisted Han’s domination. The silver seal from his tomb seems to be one of the Han Empire’s awards granted to the cooperative local elites of Okjeo. Bujoyegun and other powerful figures of Okjeo could maintain their social positions by collaborating with the reformation of Han’s domination at the time. From the information gathered above,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ose elites continuously performed an important role in the Nangnang administ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