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생충의 보조숙주로서의 한국산 연체동물 감염 실태: 기후변화에서 병원체 전파의 영향에 대한 고찰 (Korean molluscs as auxiliary hosts for parasites: A study of implications for pathogen transmission in a changing climate)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2.03
7P 미리보기
기생충의 보조숙주로서의 한국산 연체동물 감염 실태: 기후변화에서 병원체 전파의 영향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패류학회
    · 수록지 정보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28권 / 1호 / 13 ~ 19페이지
    · 저자명 : 박갑만

    초록

    본 연구는 한국산 연체동물의 감염 병원체의 실태와 한반도기후변화에 따른 질병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연구·보고된 문헌을 고찰하였다. 야생동물은 인체에 기생하는 인수공통전염병 기생충에 대한 중간숙주, 보유숙주 및 연체숙주로 제공되고있다. 흡충류는 연체동물의 흔한 기생충이며 거의 모든 흡충류는 그들의 생활사에서 1차숙주로서 패류에 감염되며, 대부분은 또 다른 숙주를 포함하는 복잡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기생충의 생태학에 대한 보조숙주로서의 중요성은 논의된 바 없다. 최근에 기후변화의 관점에서 많은 기생성 질병이 역학적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한국산 연체동물을 대상으로연구·보고된 문헌을 중심으로 기생성 병원체를 가진 종들을 조사 한 결과 전체 21종의 패류가 매개 기생체를 가지며, 이들패류 21종이 가지고 있는 병원체는 모두 39종류로 확인되었다. 이 중 담수패류가 15종 그리고 해산패류에서 6종으로 나타났다. 담수패류 중 다슬기과의 다슬기 (Semisulcospira livertina) 에서 페흡충, 요코가와흡충, 가시입이형흡충 등 가장 많은 11종류의 기생성 병원체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쇠우렁이 (Parafossarulus manchouricus) 에서는 간흡충, 동양배반흡충, 메기장흡충, 오리오목흡충, 일본극구흡충 등11종류, 다슬기류 (Semisulcospira sp.) 에서는 폐흡충, 요코가와흡충, 가시입이형흡충 등 10종류, 염주알다슬기(Koreanomelania globus) 에서는 메기소식흡충 등 7종류,바지락 (Tapes philippinarum) 에서는 Cercariae tapidis 등 3 종류 그리고 나머지 패류에서 1-2 종류의 기생성 병원체를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앞으로 홍수나 가뭄과 같은 극심한 기후변화가 일어난다면 담수패류는 기생성 매개자로서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영어초록

    To determine the status of Korean molluscs infection and relation with climate change of Korean peninsula, references were reviewed. Wild animals serve as intermediate, reservoirs and paratenic hosts to zoonotic parasites of human beings. Trematode are common parasites of molluscs and almost all trematodes infect mollusks as the first host in the life cycle, and most have a complex life cycle involving other hosts. The significance of auxiliary hosts to the ecology of the parasite has not been proper discussion. There is increasing concern as to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epidermiology of many parasitic diseases. A total of 21 species for snail transmitted parasites from Korean molluscs has been reviewed. Among them, 15 species was aquatic mollusks and 6 species for marine mollusks. Maximum infections belonged to Semisulcospira livertina had 11 kind of parasite pathogenic organisms, including Paragonimus westermani, Metagonimus yokogawai, Centrocestus armatus, Notocotylus magniovatus, Centrocestus formosanus, incerte cercaria, nipponensis cercaria, Yoshidae cercaria, cristata cercaria, innominatum cercaria and Metagonimus sp. And 11 in Parafossarulus manchouricus including Clonorchis sinensis, Asymphylodora japonica, Cyathocotyle orientalis, Exorchis oviformis, Notocotylus attenuatus, Echinochasmus japonicus, Loxogenes liberum, Cercariae of Loxogenes liberum Type I, Cercariae of Loxogenes liberum Type II, Furcocercus cercariae (Family Sanguincolidae) and Cercaria of Mucobucaris, 10 in Semisulcospira sp. including Paragonimus westermani, Metagonimus yokogawai, Centrocestus armatus, Echinochasmus redioduplicatus, Notocotylus magniovatus, Cercaria incerte, Cercaria nipponensis, Cercaria yoshidae, paludinarum cercaria and Metagonimus sp., 7 in Koreanomelania globus including Pseudexorchis major, Cercaria of parapleurolophocercous type, Metagonimus sp. (A & B), Cercaria nipponensis, Cercaria inserta and Cercaria yoshidae. Also, Tapes philippinarum have 3 pathogenic organisms including Cercariae tapidis, Cercariae furcocercus and Parvatrema sp. In particular, under climatic extremes such as floods and drought, aquatic molluscs may play a more prominent role in parasite transmission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