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점포 속성에 따른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이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3대 백화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Imported Luxury Brand’s Assets on Store Loyalty according to Store Attributes: Focus on the 3 Largest Department Store in Kore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3.06
32P 미리보기
점포 속성에 따른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이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3대 백화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경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경제연구 / 30권 / 1호 / 91 ~ 122페이지
    · 저자명 : 김진욱, 류문상

    초록

    본 연구는 이미 1990년 대 이후 국내 유통시장에 지속적 성장을 통해 그 중요성을 높이고 있고 최근에는 백화점 시장에서 절대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수입 명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그동안의 명품 연구가 명품이라는 개념의 모호성을 극복하지 못했고 마찬가지로 유통채널 간의 구분에도 그 기준이 광범위해서 연구의 실무적 가치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현실적 문제점을 인식하여 그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수입 명품 브랜드를 가장 많이 취급하고 있는 국내 주요 백화점의 점포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과 백화점 점포 속성 그리고 점포 충성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수입 명품 브랜드가 실제로 백화점의 점포 속성과 충성도와 실제적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백화점의 점포 속성에 따라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이 얼마나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아 백화점 별 차별적 도입 전략 수립을 돕고 마지막으로 수입 명품 브랜드의 자산이 백화점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브랜드 자산 하위 요인별로 알아보고자 한다. 한편 연구 대상 수입 명품 브랜드는 현재 국내 주요 백화점에서 중심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브랜드만을 선별하여 기존의 명품 브랜드에 대한 불확실한 기준을 세우고자 한다.
    연구조사는 2022년 5월 10일부터 6월 15일까지 193건의 답변을 수집하여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내 주요 백화점에 대한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점포속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분석결과 신세계 백화점(M=5.71), 현대 백화점(M=5.20), 롯데 백화점(M=4.50) 순으로 점포속성이 높게 나왔으며 둘째,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과 백화점 점포속성 그리고 점포 충성도 간 상관관계 분석결과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의 하위요인별 인지도, 품질, 이미지는 신세계 백화점 점포속성, 현대 백화점 점포속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의 하위요인별 품질, 이미지는 롯데 백화점 점포속성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이 백화점 점포속성에 미치는 영향은 먼저 신세계 백화점에 있어서는 인지도(β=.449, p<.001), 이미지(β=.328, p<.001)가 현대백화점은 이미지(β=.321, p<.001), 품질(β=.246, p<.01)이, 롯데 백화점은 품질(β=.327, p<.001)이 백화점 점포속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입 명품 브랜드 자산은 모든 백화점의 점포 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영어초록

    This study has been increasing its importance through continuous growth in the domestic distribution market since the 1990s, and the basic purpose is to improve the problem by recognizing that the standard has not met the practical value of the study in the distribution channel. To this end, I would like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consumers' perception of the store attributes of major domestic department stores, which handle the most imported luxury brands, and whether the imported luxury brands are actually related to the store attributes and loyalty of department stores. Through this, I want to find out how differently imported luxury brand assets affect department store attributes, to help establish a differential introduction strategy for each department store, and finally,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imported luxury brand assets on department store loyalty by sub-factors. Meanwhile, the imported luxury brands to be studied want to set uncertain standards for existing luxury brands by selecting only brands currently operated mainly in major department stores in Korea.
    The study collected 193 answers from May 10 to June 15, 2022 and statistically process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PSS v.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re attributes recognized by consumers for major department stores in Korea. Shinsegae Department Store (M=5.71), Hyundai Department Store (M=5.20), and Lotte Department Store (M=4.50)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 correlation between imported luxury brand assets and store attributes(p<.001), quality and image by sub-factors of imported luxury brand asset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Lotte Department Store's store attributes(p<.05). The impact of imported luxury brand assets on department store attributes is first recognition(β=.449, p<.001), image(β=.328, p<.001) for Shinsegae Department Store. Hyundai Department Store has an image (β=.321, p<.001), quality (β=.246, p<.01), Lotte Department Store has quality(β=.327, p<.001)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department store attributes. Finally, imported luxury brand asset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tore loyalty of all department stores (p<.0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