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그레마스 기호학으로 본 영화 <기생충>의 내러티브 연구 (A Narrative Research on the Movie 〈Parasite〉 (2019) Viewed by Greimas Semiotic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1.03
23P 미리보기
그레마스 기호학으로 본 영화 &lt;기생충&gt;의 내러티브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애니메이션연구 / 17권 / 1호 / 75 ~ 97페이지
    · 저자명 : 왕인순, 최은경

    초록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2019)은 서로 다른 지향을 가진 유럽과 미국 영화제에서 모두 우수한 성적을 거두면서 예술적으로나 상업적으로 모두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영화 <기생충>의 이런 성과는 글로벌자본주의 시대에서 경제적으로 양극화된 계급과 사회 계층 간의 문화적 차이를 총체적으로 구현해 낸 내러티브의 힘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레마스의 행동자 모델과 기호사각형을 중심으로 영화기생충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내러티브가 지향하는 궁극적인 세계 인식을 확인하고자 했다. 표층 내러티브 분석에서는 글로벌 자본주의 시대의 젊은 세대를 대변하는 기우라는 캐릭터를 주체로, 주체가 추구하는 생존의 수단으로서의 부동산(박사장네 이층집)이라는 대상, 조력자로서 친밀한 사적 관계를 맺고 있는 친구와 가족(혈연공동체), 적대자로서 공적인 관계에 있는 동료와 고용주의 대결 구도를 확인함으로써 발신자인 감독(봉준호)이 발견한 자본주의 사회 구조 및 그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층 내러티브 분석에서는 주체가 추구하는 대상과 적대 관계의 설정을 통해 ‘하층’과 ‘상층’의 대립을 확인하였고, ‘하층에 속한다’라는 정명제, ‘상층에 속한다’라는반명제, ‘하층에 속하지 않는다’라는 부정명제, ‘상층에 속하지 않는다’라는 부정반명제를 추출하고, 이 명제들이구성하는 심층 내러티브 구조의 의미, 즉 하층과 상층의 불균등함, 계급과 계층의 불안정성과 그로 인해 야기되는 극심한 경쟁, 계급적 정의(냄새의 선)와 윤리적 정의(예의의 선)의 차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봉준호 감독은이러한 내러티브를 통해 역설적으로 누구도 누구에게 기생하지 않고 공생하는 사회를 보여주고자 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영어초록

    <Parasite>, a film directed by director Bong Joon-ho, has achieved excellent results in European and American film festivals with different tastes, no matter in in art or commerce. Without any exaggeration, the reason why the film <Parasite> is highly praised is its narrative strategy, that is, in the era of global capitalism, it fully reflects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economically polarized classes and social strata. For this, the paper, centering on Greimas’ actor model and semantic square matrix, is to analyze the text of <Parasite>s in detail, and to try to convey the world view according to the narrative structure. In the surface narrative structure analysis, putting the role “Ki-woo” who represents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global capitalist era as the subject, and describing the means of survival his pursues, that is, entering the mansion (where President Park’s family lived), the protagonist have established close friends and family relations (blood community) as a a helper, and ave confrontation with colleagues and employers who have a common relationship as a enemy, which can find out the structure of capitalist society and its problems discovered by the director (Bong Joon-ho) as the communicator of information. In addition, the film is highly appreciat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 the audience’s evaluation of the film as the receiver of information is also localized globally. In the deep narrative structure analysis, it confirms the opposition between “lower class” and “upper class”, and extracts a positive proposition “belonging to the lower”, a in verse proposition “belonging to the upper”, a negative proposition “not belonging to the lower” and a negative inverse proposition “not belonging to the upper”, through the setting of the object pursued by the subject and the hostile relationship. It also reflects the difference between class definition (the boundary of taste) and ethical definition (the boundary of etiquette), through the significance of the deep narrative structure formed by these propositions, that is, the inequality between the lower and upper classes, the instability of classes and strata, as well as the fierce competition caused by them. I think, the director Bong Joon-ho wants to show us anon parasitic symbiotic society with a paradox way, in this narrative stru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