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체육수업에서 대나무 춤의 실천과정과 교육적 효과 탐색 (A Study on the Practice Process and Educational Effect on Bamboo Dance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7.11
24P 미리보기
체육수업에서 대나무 춤의 실천과정과 교육적 효과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7권 / 21호 / 599 ~ 622페이지
    · 저자명 : 김낭규

    초록

    본 연구는 체육수업에 뉴스포츠의 일종인 대나무춤을 적용하고 실천한 후 교육적인 효과를 탐색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경남 소재의 D여자중학교 1학년 6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5월 중순에서 6월에 걸친 총 15차시의 기간을 통해 설문지, 심층면담, 참여관찰과 수업결과물인 안무도, 시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과 다각도 검증법에 의해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나무춤의 수업 실천은 대나무춤의 실천과 구성 그리고 발표와 감상으로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대나무춤의 실천은 대나무춤의 수업을 위한 모둠 구성을 시작으로 기본스텝 익히기, 기본스텝 평가하기와 다양한 직간접체험활동을 체험하였다. 대나무춤의 구성은 새로운 동작 창작하기, 음악선정과 종합적으로 창작하기로 이루어졌다. 발표와 감상하기는 창작한 작품을 공식적으로 발표하고 나머지 학생들은 감상을 통해 감상 능력을 배양하도록 하였다. 둘째, 대나무춤의 교육적 효과는 ‘공존’, ‘성숙’, ‘창의력과 체력향상’로 나타났다. 수업초반의 어려움과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재미와 흥미를 느끼는 것으로 인식하여 힘듦과 즐거움이 있는 것에서 ‘공존’으로 나타났다. 대나무춤의 특성과 수업운영방법에 의해 수업 초반에는 불화의 모습이, 수업 중후반에는 협동하는 모습으로 나타나 ‘성숙’으로 제시하였다. 학생들의 사고를 요구하는 교수학습방법과 대나무춤의 특성에 따라 창의력이 요구됨과 동시에 체력적인 부분에서도 많은 향상이 되었다. 이를 ‘창의력과 체력향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통해 대나무춤의 수업은 지덕체의 측면에서 충분한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effect after applying bamboo dance as a sort of new sports 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utting into practice accordingly.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was to proceed with the researcher as an object of six first grade female students at D 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nam. This study was to use the data collection through various methods of questionnaire,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paintings of dancing, and poetry and painting as learning outcomes through periods of total 15 lessons from the middle of May to June, 2016. As for the collected data, the integrity of data was secured by the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and triangulation.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class practice of bamboo dance was conducted by dividing into the practice and composition, and presentation and appreciation of bamboo dance. The practice of bamboo dance was conducted by the learning of basic step, evaluation of basic step, and direct·indirect experience activities, beginning with the group composition for bamboo dance class. The bamboo dance was composed of the creation of new motion, selection of music, and the comprehensive creation. The presentation and appreciation were to present the created works and to cultivate the capacity of appreciation through the appreciation for the rest of students. Second,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educational effect of bamboo dance was 'coexistence', 'Maturity', and 'creativity and physical fitness improvement'.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difficulty and pleasure emerged as 'coexistence' by recognizing the feeling of difficulty in early class, and fun and interest as the class was being taught. The 'Maturity' was suggested as aspect of discord in early class and aspect of cooperation in middle and late class by the characteristics of bamboo dance and class operational method. Creativity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amboo dance, and many improvements have been made in the physical part. This study was to consider it as 'creativity and physical fitness improvement'. In this way,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bamboo dance class had sufficient educational effect in terms of knowledge, virtue, and heal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