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꼽추춤’의 미학 -박완서 소설의 불구적 남녀관계를 중심으로 (Aesthetics of ‘A Hunchback’s Dance’ -Focusing on the Deformed Relationship between the Sexes Depicted in Park Wan-suh’s Novel)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8.06
30P 미리보기
‘꼽추춤’의 미학 -박완서 소설의 불구적 남녀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춘원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춘원연구학보 / 12호 / 229 ~ 258페이지
    · 저자명 : 신정숙

    초록

    이 논문은 박완서의 1970년대 대표 장편소설 도시의 흉년1-3(1975-1979)의 분석을 통해서 해방 이후 가부장(아버지/남편/오빠)의 부재로 인한 여성의 강요된 독립과 사회적 진출이 전통적인 가부장제도의 와해를 가져 왔으며, 이는 ‘불구적’ 남녀관계라는 독특한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고찰하였다. 또한 이러한 불구적 관계를 치유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평등’한 남녀관계에 초점을 둔 “합류적 사랑”을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찰하였다.
    이 소설에서 1970년대의 남녀관계의 재정립 과정은 가부장의 부재와 자본주의의 발달에서 비롯된 것이다. 전통적인 가부장제도 하의 남성들은 일제 식민통치와 6.25전쟁, 그리고 급속한 자본주의 발달이라는 역사적 상황 속에서 사회구성원으로서, 또한 한 가정의가장으로서의권위가삭제혹은축소되는과정을겪게된다. 반면 가부장제도의 그늘 속에 있었던 여성들은 남성들이 몰락하는 과정에서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 직업여성으로 진출하게 된다. 표면적으로 그녀들은 가정 내에서 실질적인 가장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남성과 평등한 관계 혹은 남성을 지배하는 듯한 양상을 보여주지만, 여전히 삶의 중심을 ‘남성’에 두고 있으며, ‘일부종사’라는 전통적인 도덕률에 얽매여 있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가부장제도의 와해와 여성의 경제적 독립은 부부간의 성적 결합이 불가능한 관계, 즉 불구적 남녀관계를 낳은 가장 핵심적인 요인이다. 이 소설에 형상화된 우스꽝스러운 “꼽추춤”은 불구적 남녀관계를 상징한다. 작가는 불구적 남녀관계를 극복하고, 남녀관계의 원시적 생명성을 회복할 수 있는 방식을 제시하는데, 이것이 바로 “합류적 사랑”이다. “합류적 사랑”은 남녀 각각의 정체성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사랑의 유대를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정립해가는 사랑이다. 또한 “합류적 사랑”은 이전의 낭만적 사랑에서 강조되지 않았던 관능적 요소가 첨가되어 있는데, 이는 ‘점잖은 부인’과 ‘노는 계집’이라는 전통적 구별짓기의 소멸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 해방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그러나 미래 지향적인 남녀관계를 새롭게 구축할 주인공들이 1970년대의 도시를 떠나 아버지의 고향(시골)에서 새롭게 시작한다는 결말은 이 소설이 지닌 의의이자, 일정한 한계로 볼 수 있다. 아버지의 고향(시골)은 그가 평생 동안 위대한 가치로 여겼던 ‘가족에 대한 사랑’이 여전히 강력한 자장을 형성하고 있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새롭게 (남녀)관계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생명의 공간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아버지의 공간은 기본적으로 전통적인 가부장적 질서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이 들의 ‘귀농’는 가부장적 질서 속으로의 재진입을 의미한다. 과거 남성 중심적인 위계 질서로의 회귀를 통해서 1970년대적인 상황에서 발생하게 된 불구적 남녀관계를 치유하기는 어렵다는 측면에서, 작가가 제시한 해법은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volumes 1 to 3 (1975 - 1979) of『The Year of Famine in the City』, a major long novel written by Park Wan-suh in the 1970s. The aim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fact that the lack of a patriarch (father, husband, or elder brother)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compelled women's independence, and also their entry into civil society. The paper also asserts that this lead to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patriarchal order, and the unique ‘deformed’ relationship between the sexes was developed as a result. In addition, it was examined that the author presented "the confluent love" that focuses on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s a way of healing the deformed relationship.
    Park Wan-suh repeatedly emphasized in this novel that the re-established relationship between the sexes in the 1970s resulted particularly from the lack of a patriarch in families and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after the Korean War. The patriarch appearing in this novel goes through the deletion or contraction of his status as a family head, and as a member of the society in the historical context that involves the colonial rule of Japan, the Korean War, and the rapid advancement of capitalism. On the other hand, his wife enters into society as a career woman to earn a living for her family while the traditional patriarchy is collapsing. Superficially, she seems to play a substantial role as a family head, and thus begins to dominate her husband, but she is still bound to the traditional ethical code, so-called 'serving but a single husband.’ The widow who lost her husband in war also shows such an ambivalent attitude. She enjoys free love with many men, but the purpose of her free love is to marry one and re-enter into the traditional patriarchal order once again.
    As such, the rapid collapse of the patriarchal system and a rise in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failed to lead to women’s liberation, but formed the deformed relationship between the sexes with their position somewhere between the traditional ideology and the modern reality. The author proposes a way of overcoming the deformed relationship between the sexes in the 1970s, and recovering the primitive vit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es, which is 'the confluent love.' "The confluent love" is a type of love that establishes a new identity through a loving unity without damaging the respective identities of both men and women alike. Additionally, “the confluent love” involves fleshly elements that were not emphasized in the traditional romantic love. Such fleshly elements imply the nature of women's liberation on the assumption that the traditional 'distinction' between ‘graceful madams’ and ‘hedonistic women’ vanishes.
    This novel's end, however, describes the new generation that develops the future-oriented relationship between the sexes as leaving the city, and starting life anew in the father's hometown (countryside) in the 1970s, which reflects people's nostalgia toward the vanishing patriarchal order. In this context, ‘returning to the soil’ means re-entry into the traditional patriarchal order, which is viewed as originating from the instinct of returning to their traditional and stable foundations. In this novel, as a matter of fact, returning to the men-centered order of rank is insufficient to heal the deformed relationship between the sexes in the 1970s, which is also a major limitation of this novel's author, as well as being the general trend at the time in the 197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춘원연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