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선데이서울》 춤기사의 프레임 분석- 한국 춤의 상징적 경계에 관한 연구 - (The Frame Analysis of Dance Articles in the 1970s’《Sunday Seoul》 -A Study on the Symbolic Boundary between Dances in Korea)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3.02
42P 미리보기
1970년대 《선데이서울》 춤기사의 프레임 분석- 한국 춤의 상징적 경계에 관한 연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26호 / 123 ~ 164페이지
    · 저자명 : 윤지현

    초록

    본 연구는 1970년대 대중적 오락잡지였던 《선데이서울》에 실린 춤기사의 프레임을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춤장르 사이에 형성 또는 강화되어온 상징적 경계의 일단을 관찰하고자 했다. 선정적인 사건사고 기사나 관능적인 여성 화보를 떠올리게 되는 《선데이서울》에서 고급예술로 인식되는 전통춤, 발레, 현대무용 공연기사나 인물이 소개된 것을접하면 오늘의 관객은 거북하게 여길지도 모른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오늘의 한국 춤장르 사이에 1970년대와 다른 상징적 경계가 형성된 것으로 분석한다.
    1968년 9월 《선데이서울》창간호부터 1978년 8월말까지 발간된 약 10년간 《선데이서울》에 실린 춤기사 323건을 수집하여 수량적 현황과 특징, 형식적 프레임, 내용적 프레임을 분석했다. 자료수집을 위해 국회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 정기간행물실을 이용했으며 소장자료의 열람과 복사를 했다. 형식적 프레임은 언론학자 아이옌거의 분류법을활용했으며, 내용적 프레임은 기사 텍스트에 사용된 어휘의 특성과 내용, 주제의 강조나생략, 반복에 주목하여 분석했다.
    1970년대 초반 이후 이 매체에 실린 춤기사는 증가했으며 중후반에 이르면 연 30-40건내외가 수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월별 추이는 다양한 문화행사가 집중된 5월과 10월에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춤장르의 경우 1970년대 초반까지 민속예술제, 민속춤, 가면극,사교춤대회의 비중이 높은 반면 중반 이후로는 발레나 현대무용 등 오늘날 고급예술로여겨지는 장르의 비중이 높아졌다. 기사형태의 특징은 화보기사의 비중이 높고, 사진의사용이 많았다.
    형식적 프레임은 일화중심, 주제중심, 일화-주제중심 프레임이 고루 나타났다. 특히 일화-주제중심 프레임의 비중이 높았는데 이 프레임은 본격적인 심층보도에 미치지는 않으나 무용계에 일어난 일과 이에 대한 반응 및 해석을 첨부한 기사 형식을 포함한다. 본연구에서는 사진이미지를 중요한 텍스트로 관찰하고 춤공연 장면과 관련기사로 구성된화보기사를 일화-주제 프레임으로 분류했다. 당시 일간지의 경우 제한된 지면으로 춤공연과 같은 문화예술분야에 심층적 보도를 위한 지면할애가 어려웠던 상황과 달리 《선데이서울》은 상대적으로 지면활용이 용이한 제작조건이었던 것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내용적 프레임은 볼거리 프레임, 고급예술 프레임, 여성의 장르 프레임, 인간적 흥미프레임 등 4개의 프레임을 도출했다. 장르에 상관없이 사진 이미지 활용이 많고, 다수 사진은 여성의 몸을 대상화하며 볼거리로 취급한다는 점에서 볼거리 프레임이 도출되었다.
    고급예술 프레임의 경우 대학의 교육과정에 편입되었거나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종목과국립무용단체 참여 인물을 중심으로 춤공연이 부각되었다는 점에서 도출된 프레임이다.
    또한 1970년대 중반 이후 발레, 현대무용 장르와 인물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민속예술제와 나이트클럽의 쇼무대는 그 비중이 감소했을 뿐만 아니라 춤보다는 사회면의 사건기사에서 취급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여성의 장르 프레임에서는 무용계의 인구학적 성별구성이 여성이 높다는 점에서 여성무용가의 노출 빈도가 높았고, 남성 무용가에 비해 사진 처리 비중이 높아 노출 및 강조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인간적흥미 프레임은 무용계 인물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보여주는 기사처리를 통해 도출했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극장춤 공연은 고급예술로서 차별화된 문화적 취향을 지닌 계층의문화로 유통되고 있다. 1970년대 《선데이서울》에 실린 춤기사로 표상되는 춤에 대한사회문화적 맥락은 오늘날 무용계에 작동하는 상징적 경계가 당시에는 뚜렷하지 않았던것으로 해석된다. 무용계 내부에서 개인 무용가의 예술적 위상을 인정받거나 자신이 속한 춤장르를 다른 춤장르와 구별짓기를 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는 상호작용을한다는 점에서 고급춤과 대중춤의 경계, 곧 상징적 경계의 개념은 유용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observes the constructing process of symbolic boundary among the dance genres in Korea by analyzing frames of the dance articles in the 1970s’ popular weekly magazine 《Sunday Seoul》 which is regarded as the very representative of yellow journalism. In the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context, many audiences may feel absurd if they find that 《Sunday Seoul》 contained the articles on dance, particularly the concert dance. It is because fine arts such as ballet and modern concert dances seem different from the character of the magazine.
    Total 323 dance articles of 《Sunday Seoul》 from the first issue of 1968to the last issue of August, 1978 were sampled, and analyzed by the frame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dance articles about Korean folk dances and traditional mask dances were main subjects till the early 1970s b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fine arts such as ballet and modern dances had increased later than the mid-1970s. Most articles were reported as forms of pictorial news using lots of photographies of dance and dancers. 4 frames were drawn fromthe contents of articles. They are spectacle frame, fine arts frame, women’s genre frame, and human interest frame. Spectacle frame is related to the form of pictorial news, in which women’s bodies were objectified by the camera frames regardless the genres. Next, fine aπs frame is cαmected to dance genres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hi양 education, dance repertoires selected as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by government, and people involved in national dance companies. They were focused on and dealt with as fine aπs in 1970s’ dance scene. In wαnen’s genre frame, the study found female artists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male artists in the dance articles. It was quite natural if the numeric superiority was considered. Lastly in human interest frame, artists in dance were illustrated focusing on the home background,family connection, and personal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