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춤과 탈경계의 현상 - 춤과 영상의 만남을 중심으로 (Border Crossing in Dance Theatre-A Study on Functions of the Film on the Contemporary Dance Theatr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5.12
36P 미리보기
춤과 탈경계의 현상 - 춤과 영상의 만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57호 / 115 ~ 150페이지
    · 저자명 : 남상식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무대 공간 속 ‘다른’ 매체로서 영상을 이용하는 춤 공연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우리 시대 공연예술의 쟁점과 그것이 모색하는 새로운 표현의 가능성에 관해 생각해보는 것이다. 본래 춤이 순수하게 공연 요소 자체의 구성에 기초하기도 하거니와, 그런 이유에서 그것은 영상과 다른 무대 매체와의 결합, 상호매체적 상황과 관련해서도 보다 근본적인 사례가 된다.
    이 연구에서 주목하고자 한 것은 공연 속에 들어있는 미학적 전략으로서, 그것은 상호매체성(intermediality)의 원리이며 재매개(remadiation)의 기술이며 그 작동 상황이다. 여기서 다루는 안무가, 스튜어트, 포싸이스 그리고 몬탈보/에르비유는 디지털 미디어의 대량 이미지가 생산하는 가상의 리얼리티가 은폐하는 매체의 작동 상황을 의도적으로 확대하거나 드러냄으로써 그런 전략을 수행했다. 본고는 그 전략의 수행 양상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영상이 어떤 극적인 기여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스튜어트의 <Splayed Mind Out>에서 영상은 오로지 몸의 모습, 움직임을 클로즈업으로 보여주는 하나의 그림이다. 스튜어트의 무대 위에 투사된 영상의 기능은 그것이다. 스튜어트에게 영상은 보여주기와 보기의 연습을 위한 수단이다.
    포싸이스 공연에서 영상은 무대전체를 하나의 몽타주로 만든다. 그리고 그런 연출은 장면의 단편화로 이어진다. 이야기부터 공간까지 단편으로 쪼개진 공연 <Kammer/Kammer>에서 영상은 흩어진 스크린을 통해 설치영상처럼 나타난다. 여기서 관객은 다른 여러 시공간에 직면한다. 여기서 비매개(immediacy)는 없으며, 하이퍼매개(hypermediacy)의 상황은 극대화된다.
    몬탈보/에르비유의 <Orphée>는 영상과 춤을 완벽하게 결합하는 공연처럼 보인다. 그런데 여기서 그 환상은 완벽한 재현과 가상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영상과 춤, 각 매체의 불연속적 연결을 통해 나오는 것이다. 매체와 매개의 직접적인 체험이 곧 극적 체험이었던 것이다. <Orphée>는 불연속의 조화를 통해 새로운 형식의 춤연극을 만든다. 그것은 하이퍼매개와 비매개의 상황을 절묘하게 연결한 형식으로서 ‘영상무용오페라’라고 불릴만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bout some topics with a synthesis of visual and theatrical arts through dance theatre. It is mainly on functions of the film on the contemporary stages. As we know, the film have been used nowadays in many different parts of performances such as dance, theater. And this is always, there is a bunch of different studies here about theatrical works using film.
    This research aims to think about the possibility of new ways of expression that contemporary performing art pursues through several examples of dance performances beyond boundary which utilize video as ‘different’ medium in performing space. The examples of Meg Stuart, William Forsythe, Jose Montalvo and Dominique Hervieu show the attempts of going beyond boundary with achieving full attention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performing art. Taking various approaches, all of them have tried to answer questions through media performances with interesting results in both terms of experiment and public attention.
    The research will explore the aesthetical strategies in those performances which are the principle of intermediality and the art of remediation. Those strategies not only evoke sensible and phenomenological experiences with creating spacial reality, also, enlarge the effect of representation as massive image of digital convergence. They perform those strategies by intensionally revealing the state of media mechanism that virtual reality of mass image hides.
    In Stuart’s performance <Splayed Mind Out>, the only thing that exists is body as movement, the video. In this experimental performance that reminds the research of movement, the video is the equipment shedding light on the performer’s body appeared on a huge screen. The video does not offer any dramatical attribution. Instead, it shows purely the body and the movement of body by closing up and becomes one single massive picture. This is the very function of video on the stage of Stuart who utilizes it in order to practice of showing and seeing.
    The special thing of the various performances by Forsythe which encompass ballet, text, language, video, computer and installation is that he borrows the principle of combining different genres from video editing skill. The way of applying video in his performance is to make whole stage as one montage. This leads the fragmentation of scenes. In <Kammer/Kammer> devised by fragmenting from story to space, video appears as installation through scattered screens. By this, audiences confront various times and spaces. Here, there is no immediacy, whereas the state of hypermediacy is maximized. This maximized distances between mediums would be filled only by audiences. What matters here is the imagination of audiences which fuels the empty space between dance and video.
    Montalvo and Hervieu’s <Orphée> combines video and dance perfectly with evoking full fantasy. Instead of representation, the fantasy of this performance comes from the inconstant connection between video and dance. The direct experience of medium and connection is nothing but ultimate theatrical experience. In <Orphée>, video distorts real things by exaggeration or decomposes them using the montage principle. This distortion and decomposition harmonize other elements (dance, music and so on) resulting in inventing the new form of dance performance. It can be called ‘video dance opera’, the form of proper combination of hypermediacy and non-media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