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추강(秋岡) 김필수(金弼秀)의 생애와 유산: 목회자, 기독 사회운동가, 문필가 (A Life and Legacy of ‘Chugang’ P’il-su Kim: Pastor, Christian Social Activist, and Writer)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9.09
38P 미리보기
추강(秋岡) 김필수(金弼秀)의 생애와 유산: 목회자, 기독 사회운동가, 문필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와 역사 / 51호 / 75 ~ 112페이지
    · 저자명 : 이재근

    초록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한국교회의 지도자로서 호남지역 장로교회와 치리회, 그리고 YMCA, 「기독신보」, 예수교서회 등 연합기관에서 맹활약한 대표적 한국인 지도자이자, 교회와 언론, 출판, 사회운동, 에큐메니컬 운동 등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과시한 김필수는 오늘날 학계와 교계에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추강 김필수는 한국 개신교계가 목회를 제외한 전 분야에서 여전히 선교사 주도권 아래 대체로 보조적인 역할을 하던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에 활약했다. 이런 시기에 선교사와 대등하거나 혹은 더 지도적인 지위와 역할을 맡으면서, 다방면에 걸쳐서 초기 한국 개신교 토착 지도자의 모범을 보인 특별한 인물이었다. 한국 최초의 에큐메니컬 조직인 서울(황성) YMCA의 12인 창립이사 중 유이한 한국인 이사(1903), 조선장로회 전라노회 초대 노회장(1911), 1912년에 창립된 장로회 총회의 4대 총회장이자 첫 한국인 총회장(1915), 「기독신보」 초대 주필 및 편집인(1915), 조선예수교장감연합협의회 초대 회장(1918), YMCA 순회전도단 창립자(1920), YMCA 대표 강연자 및 회보 「청년」 초대 주간(1921), 예수교서회 편집자 및 대표번역자(1924) 등, 지도력, 언변, 문필을 갖추고, 한국인 지도자가 맡을 수 있을 대표적인 요직을 두루 거쳤다.
    이런 김필수의 재능과 위치는 당대 선교사와 한국 기독교인에게 두루 인정받았다. 따라서 추강 김필수는 1937년에 은퇴하기까지 한국교회가 낳은, ‘대표’라는 이름이 가장 잘 어울리는 인물이었다. 일제강점기 한국 기독교 역사의 전 시기와 전 영역에서, 이 모두를 아우르는 포괄적이고 촘촘한 삶을 산 김필수는 그 자체로 역사의 증인이었다. 당대에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하나였으나, 은퇴 후에는 모두의 뇌리에서 사라진 인물 추강 김필수는 다시금 조명 받아 마땅한 인물이다.

    영어초록

    P’il-su(Pil soo) Kim was a representative Korean Protestant leader in the period of the Empire of Korea and in the era under the colonial administration of Imperial Japan. He was a native leader in the Presbyterian Church's governing bodies in Honam and in the whole country,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YMCA, Gidoksinbo(The Christian Messenger),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and other leading Korean Christian organizations. However, he is hardly known to both scholars and Christians today.
    Kim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Korean Christian community in the era of Empire of Korea and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in which, except for the ecclesiastical ministry, Korean natives still played a supporting role under the missionary initiative. He was a unique figure who showed an example of early Korean Protestant indigenous leaders over many aspects, assuming equal or greater leadership positions and roles with foreign missionaries. He was one of the two Koreans of the twelve founding directors in the Hwangseong(Seoul) YMCA(1903) as the first ecumenical organization in Korea; the first moderator of Jeolla Presbytery(1911); the fourth moderator and simultaneously the first as Korean in the Presbyterian General Assembly(1915),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1912; editor of Gidoksinbo(The Christian Messenger)(1915); the first president of the United Council of Presbyterians and Methodists in Korea(1918); founder of YMCA itinerant evangelistic team(1920); and the first editor-in-chief of the magazine Cheongnyeon(Youth)(1921). In addition, he laboured as an editor and a representative translator in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1924). Kim was widely acclaimed by contemporary missionaries and Korean Christians for his ability of talent in the field of journalism, speech, and literary work until his retirement in 1937. Kim's life and work deserve to be reinvented and review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독교와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