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패널자료 분석을 이용한 중․고령자 단독가계의 의료비지출 영향 요인 (A Panel Data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Health Care Expenditures among Older Single-person Household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0.12
26P 미리보기
패널자료 분석을 이용한 중․고령자 단독가계의 의료비지출 영향 요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21권 / 4호 / 193 ~ 218페이지
    · 저자명 : 윤정혜, 김시월, 조향숙, 송현주, 장윤희

    초록

    이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의 1-3차년 자료를 이용하여, 중․고령자 단독가계의 의료비지출규모와의료비지출비중 추이에 가구주의 소득, 건강상태 및 기타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차년도 (2005년) 조사 당시 50세 이상 단독가계의 가구주로서 2차년도 (2007년), 3차년도(2009년) 조사에도결측값 없이 응답한 중․고령자 단독가구주 683명 1,794건의 패널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의료비지출의 선형회귀모형을 OLS, 개인고정효과 및 개인랜덤효과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비 소비는 정상재이며 필수재의 성격을 보인다. 둘째, 중․고령자 단독가계의 의료비지출규모는 질환이나 장애가 있을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건강상태가 의료비지출에 주요한 영향요인임을 알 수있다. 셋째, 조사시점이 최근으로 올수록 의료비지출규모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2008년 7월에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과 2008년 경제위기로 인한 소비지출의 위축이 원인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교육수준이 높을 경우의료비지출비중이 낮은 것으로 보아 교육을 통한 인적자본이 의료비지출의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여성은 남성에 비해 전반적으로 의료비지출규모가 크며, 남성은 의료비지출의 소득탄력성이 여성에 비해 훨씬높을 뿐 아니라 질환이나 연령에 따른 효과도 여성에 비해 더 뚜렷했다. 여섯째, 자산, 부채, 취업 등의 경제적 지위도 의료비지출과 유의한 관련을 보이나 이것은 인과관계라기보다는 내생성으로 인한 상관관계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저소득층 중․고령자 단독가계 가구주를 위한 질병 예방, 치료 및 의료비 지출절감정책, 질환이 있는 중․고령자 단독가계 가구주를 위한 치료 및 의료비 지출절감정책, 예비노인기부터 건강관리 및 질병예방지원정책, 저교육 수준의 중․고령자 단독가계 가구주를 위한 청․장년기부터의 건강관리와 질병예방교육 프로그램,여성가구주 전체와 특히 저소득층 남성가구주를 위한 의료비지출절감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Korea is approaching an aged society faster than most OECD countries. By 2014, the 65and older population will account for 14 percent of the population. In 2005, every fifth Korean household was a single-person household mainly due to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elderly are facing many problems today, but healthcare and economic hardship are their utmost concern.
    This study uses the 2005, 2007 and 2009 surveys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to explore how income, health statu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termine health care expenditures among older Koreans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several aspects: first, it takes advantage of panel data analysis; second, the sample includes the near elderly, which age group is identified as significant consumers of health care; and third, it adds to the literature by contrasting men against women as health care consumers.
    The sample consisted of 1,794 observations from 683 single householders aged 50 years or older in 2005. Both the size and share of health care expenditures, the latter of which was defined as a fraction of total consumption expenditures, were regressed on income, health status, and othe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literature and included age, gender, cohort, education,area of residence, assets, debts, home ownership, employment status, health insurance coverage,and receipt of other social insurance and welfare benefits.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through Ordinary Least Squares (OLS), individual fixed effects, and random effects models.
    The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First, in all models incom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ealth care expenditures, with the fixed-effect income elasticity at 0.14, suggesting that health care consumption is a normal good and necessary.
    Second, having disease or disabil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the size and the share of health care expenditures. In addition, after controlling for the survey year and birth cohort, older ag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ize of health care expenditure. This suggests that health status is a significant predictor of health care expenditures.
    Third, the size of health care expenditures has decreased over the 2005-2009 period. It can be inferred that macroeconomic and institutional factors like nationwide expans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2008, and economic recession during the late 2000’s played a role in reducing health care expenditures by the elderly.
    Fourth, educa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hare of health care expenditures as a fraction of total consumption expenditures of the household. This appears to suggest that human capital plays a role in reducing the need for health care expenditure at an older age.
    Fifth, when income, health status, and othe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women spend significantly more on health care than men. This gender difference is robust in both dependent variables - the size as well as the share of health care expenditures. Income elasticity of health care expenditures is also much greater for men than for women. Furthermore, health care expenditures by men vary more markedly by age and health status compared to those by women.
    Sixth, economic status such as assets, debt, and employment status are also significant,most likely due to endogeneity arising from inherent healthiness.
    Findings from this study offer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irst, it is suggests that the health care policy for the older single-person households target low-income households in all phases of prevention, treatment, and cost reduction. Second, such policy should particularly focus on the older single-person households who have disease or disability. Third, it is important to provide support for disease prevention before the individuals reach old age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on health management and disease prevention for the middle-age population.
    Fourth,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ies that aim to reduce health care costs should be genderspecific.
    Such policies should be directed at older women in general and older men especially in low-income househo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