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망추로 본 청동기시대 어로 양상 -포항지역 출토품을 중심으로- (Bronze Age Fishing Practices as Observed from Fishing Net Weights -Focusing on Material from the Pohang Area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2.07
34P 미리보기
어망추로 본 청동기시대 어로 양상 -포항지역 출토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14호 / 5 ~ 38페이지
    · 저자명 : 이동주, 장호진

    초록

    청동기시대 어로에 관해서는 베일에 가려진 면이 적지 않다. 따라서 어로를 통해 생업의 이면을 추적하기란 쉽지 않다. 그 와중에 당시 어로의 양상을 더듬어 볼 수 있는 자료로어망추를 들 수 있다. 어망추는 그물에 하중을 주어 물속으로 가라앉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로구이다. 청동기시대는 전대와는 달리 흙으로 소성된 어망추가 등장한다. 소성작업은 그 이면에 대량 생산과 형태의 균일화를 함의하고 있다. 그 선상에서 청동기시대 어로는 전문화,조직화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여기서는 이러한 제반사항을 염두에 두고, 동해안, 특히 포항지역에서 출토된 어망추를 유형별로 정리해 보았다. 지금까지 포항 지역에서 보고된 어망추는 모두 672점인데, 그 가운데시대가 불명확한 유구에서 출토된 27점과 결실이 심하여 그 형태를 알 수 없는 8점을 제외한637점을 분석해 보았다. 형태분류는 크게 단추형(ⅠAㆍB식), 구슬형(ⅡAㆍB식), 원통형(ⅢA ㆍBㆍCㆍD식)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한편 포항지역의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권역별로 초곡천과 인접한 A군(초곡리ㆍ남송리ㆍ이인리ㆍ대련리 유적), 냉천에 인접한 B군(호동ㆍ원동 유적), 해안과 인접하여 형성된 C군(구만리ㆍ대보리ㆍ강사리ㆍ삼정리 유적)으로 대별할 수 있다. 어망추의 출토 양상은 A, B, C군 공히 ⅢB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하천과 연접된 A, B 군의 경우 C군에 비해 ⅡA(구슬형)의 비율이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청동기시대 어로와 관련된 연구성과에 의하면 농경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어로에 대한 의존이 낮아졌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식은 청동기시대 전체를 관통하기 어려운 측면이 없지 않다. 즉 주거지의 입지가 강이나 해안을 끼고 있을 경우 수자원에 대한 관심이 적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여러 유형으로 제작된 어망추의 존재는 어로의 비중이 결코 낮지 않았음을 웅변해 준다.
    아울러 전문화, 조직화의 증거로 어망을 짜는 직조기술에 관심을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신석기시대 동삼동 패총에서 출토된 그물문 토기는 끈목으로 짠 그물을 토기의 외면에 직접 찍어 문양을 낸 경우이다. 끈목은 여러 가닥의 실을 합사한 것이다. 때문에 끈목으로 그물을 짜면 물을 거스르는 압력, 물고기의 하중으로부터 견딜 수 있는 인장력이 늘어난다. 섬유질의실을 끈목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비톳이라는 도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그간 막연히 방추차로보고되어 온 것들에 대한 관심의 환기 차원에서 표면적 대비 두께가 비슷할 경우 비톳일 가능성이 높음을 지적하였다. 덧붙여 건조시설을 추론해 보았다. 사실 물고기와 섬유질로 된 그물은 건조가 중요하다. 다시 말해 그물과 물고기의 장기간 저장은 얼마나 잘 건조되었는가를통해 판가름 난다. 때문에 여기서는 포항 이인리 청동기시대 생활유적의 주거지 뒤편에서 확인된 무수한 주혈군들을 건조시설, 이른바 덕장으로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Not much in known about Bronze Age fishing practice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construct the subsistence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fishing activities. Fishing net weights comprise one category of archaeological material through which past fishing practices can be approached. Unlike those of the previous period, Bronze Age fishing net weights were made of fired clay, and these ceramic fishing net weights are indicative of mass production and standardization in form. This, in turn, may be taken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well organized and specialized fishing activities.
    Taking the above issues into consideration, the fishing net weights of the eastern coastal region (the Pohang area in particular) were considered. The major residential areas of this region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roups: Group A (the sites of Chogokri, Namsongri, Iinri, Daeryunri) located next to the Chogokcheon River, Group B (the sites of Hodong, Wondong remains) located next to Nangchon River, and Group C (the sites of Gumanri, Daebori, Gangsari, Samjungri) located close to the coastline.
    A total of 672 fishing net weights have been excavated thus far from the Pohang area; analyzed in the current study are 637 fishing net weights, 27 having been excluded due to uncertain chronology and 8as their original forms could not be reconstructed due to poor preservation.
    The fishing net weigh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orm, into the button type (Type I), bead type (Type II), and cylinder type (Type III).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ype IIIB fishing net weights were excavated in great quantities from all three residential area groups. However, the percentage of Type IIA (bead type) fishing net weights was much higher in the Group C than in Groups A and B. Previous studies have assumed that the importance of fishing deceased as that of farming increased. However, this model cannot be applied universally for the Bronze Age. Given the fact that residential areas were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coast or rivers, water resources would have continued to be greatly important. The continued importance of fishing is evidenced by the presence of fishing net weights of various forms.
    Fishing net weaving technique may also be considered as a means of approaching the issue of specialization and organization. Neolithic net design pottery excavated from the Dongsamdong shell midden contains on its surface the imprint of braided nets. When nets were made with braided rope, the tensile force increased, which allowed it to withstand water pressure and the gravity of fish. In order to make braided rope, a tool called the ‘bitot’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in the case of items that have been vaguely reported as ‘spindle whorls’ those in which the thickness measurement is similar to the surface measurement may be regarded as bitots. In addition, given that the longevity of organic fishing nets depends on how well they were dried, and as drying enabled the long-term storage of fish,pits such as those located behind Bronze Age dwellings at the site of Iinri in Pohang may be interpreted as drying facilities called ‘dukj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야외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