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추사고택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의미론적 고찰 (A Semantic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Chusa-Gotaek)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09.03
14P 미리보기
추사고택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의미론적 고찰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논리성
    • 신뢰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한국 전통주거공간의 심층적이고 학술적인 분석 제공
    • 🌿 추사고택의 공간 구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의미론적 접근
    • 🔍 건축, 문화, 철학을 아우르는 다학제적 연구 관점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7권 / 1호 / 84 ~ 97페이지
    · 저자명 : 이현우, 김재식, 김정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후기 상류주택의 전형인 추사고택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로, 문헌조사와 실태조사를 위한 현지답사 및 실측된 기존 도면들을 중심으로, 의미를 부여한 ‘공간(space)’이 비로소 ‘장소(place)’가 되기까지의 귀납적인 논리로 한국 전통주거공간을 고찰하였다.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넘는 개념적인 수용으로, 그 시대의 삶에 맞는 고유한 의미를 지닌 추사고택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대한 함축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추사고택의 조영은, 18세기 중엽으로 원래는 99칸이었으나 현재는 20여 칸만이 남은 ㅁ자 집으로 창건당시를 완벽히 재현하지 못한 일부만의 복원임을 파악했다.
    2. 추사고택의 입지로는, 용궁리 일원이 조선시대 교통의 요충지였으며, 이중환의 택리지 卜居總論에서 卜居를 만족시킬 조건의 樂土에 해당되는 곳임을 파악했다.
    3. 추사고택의 풍수지리는, 음택과 양택이 순환하며 조상이 명당에 묻히면 후손으로 윤회한다는 믿음으로, 죽음을 극복하고 영원한 생명을 얻는다는 한국인의 사생관이 반영된 공간임을 파악했다.
    4. 추사고택의 공간배치 및 구조는, 인간중심의 의식체계․사상이 담긴 삶의 容器로써 단지 공간이 시각적․감각적인 대상만은 아니며, 존재감 및 일상생활이 녹아든 체험의 총체적 공간으로서, 심미적․철학적인 영역으로 생활방식에서 기인된 행위가 실현되었던 장소였음을 파악했다.
    5. 추사고택의 건축물에서는, 외관적으로 동적인 장소이지만 사용자의 활동은 정적․사색적이기에 陽中陰․動中靜의 공간인 사랑채, 외관적으로 정적인 장소이지만 안에서는 구체적인 삶의 공간으로 동적․현실적이기에 陰中陽․靜中動의 공간인 안채, 祭儀主體인 남성을 위한 별채개념으로 하나의 공간이 탄생된 사당, 본채와 분리된 경계에 세웠던 대문간채 등을 파악했다.
    6. 추사고택의 점경물로는, 배후산세를 차경으로 도입해 자연을 벗 삼고자했던 추사의 자연애와 소박한 미의식이 胚胎된 형태인 담, 공간의 전개와 위계를 형성케 한 기단, 다양한 형태의 문들, 대문 앞의 대추나무․사랑채 앞의 느티나무와 감나무․안채 바깥마당의 화초류․담장주변의 가죽나무와 유실수․사당으로 오르는 북측의 대나무․후원의 감나무 대추나무 살구나무 모과나무․우물가의 앵두나무 등의 식생분포, 키가 낮고 홀로 떨어져 인상적인 큰 굴뚝 등을 파악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Chusa-Gotaek which is a prototype of housing architecture for the late Joseon's ruling class. Based on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 and existing measured drawings, this study analyzed Korean traditional housing space using an inductive approach to investigate the spatial transformation process from a sematic space to place. The spatial composition of Chusa-Gotaek which embraces unique meaning specific to the life of the time by conceptual acceptance beyond superficial visual beauty is as follows:
    1. The building is ㅁ-shaped and constructed in mid 18th century originally consisting of 99 rooms, now only with 20 rooms left. It was found that the original building was not completely restored with partially restored detached house.
    2. The surrounding area of Yonggung-Ri as the location was a key traffic point in Joseon Dynasty and a pleasant spot to meet the conditions for a blessed spot described in Lee, Jung-Hwan's Taekriji Bokgeochongron.
    3. The art of Feng Shui is a belief system that Yin and Yang Taeks are circulated, and burial of ancestor on a propitious grave site will transmigrate them to their descendants.
    4. It was discussed that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space is a bowl containing human-oriented thoughts and philosophies beyond mere visual and tangible object as well as a totalistic space in which existence and everyday life is instilled and the activities arising from the aesthetic and philosophical way of life is realized.
    5. This study also founded a few of aspects in Chusa-Gotaek including that the detached house is Yan among Yin and dynamic among static since the user's activities are static and speculative while the building is dynamic in its appearance; the main house is Yin among Yang and static among dynamic since its appearance is static while it is dynamic and realistic as a space for real life; shrine is a space born from the concept of detached house for man who is responsible for religious ceremonies; gate annex room at the boundary line to separate the main house from the gate.
    6. As landscaping architecture, this study found the wall containing the love for nature and plain aesthetic sense of Chusa who wanted to get along with nature by introducing back mountains as background scenic view; the stylobate and gates to shape space arrangement and hierarchy; arrangement of plants such as jujube tree in front of gate, zelkova and persimmon trees in front of the detached house, flowers in the backyard of the main house, fruit trees and ailanthus tree along the wall, bamboo trees in the north area to shrine, backyard's persimmon, jujube, apricot, Chinese quincy tree, cherry tree at the well side; small and impressive chimney which is separated al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