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인 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among Older Single-person Household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2.12
28P 미리보기
노인 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23권 / 4호 / 309 ~ 336페이지
    · 저자명 : 김시월, 윤정혜, 조향숙, 이정화

    초록

    이 연구는 노인 단독가계의 교통비, 통신비, 문화․여가활동비, 경조사․교제비 등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 수준과 구성비 수준을 알아보고,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의 3차년(2009)도 조사에 응답한 65세 이상 노인 단독가계의 가구주 706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회귀분석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 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 수준과 구성비를 비교해볼 때, 경조사․교제비 등의 소비지출 수준과 구성비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통비, 통신비, 문화․여가활동비 순으로 소비지출 수준과 구성비 수준이 높았다.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의 경우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적게 지출하여, 여성이 남성의 약 60% 수준에서 지출하고 있었다.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은 정상재이며 필수재의 성격을 보였다. 즉, 교통비, 통신비, 문화․여가활동비, 경조사․교제비 등의 소득탄력성은 모두 엥겔계수보다 높고 1.0 미만이었다.
    각 비목별 지출을 볼 때, 교통비 지출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거주지역이 서울보다 도에 거주할 경우, 질환이 없는 경우 유의하게 높았으며, 통신비 지출은 연령이 적을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부채가 많을수록 유의하게높았다. 문화․여가활동비 지출은 종교가 있는 경우, 자산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득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정(+)의 소득효과가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소득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정(+)의 자산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은 종교가 있는 경우, 거주지역이 서울이 아닌 광역시나 도에 거주할 경우 문화․여가활동비의 지출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남성의 문화․여가활동비의 소득탄력성이 여성에 비해 훨씬 높았다. 경조사․교제비 등의 지출은 종교가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득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남성은 소득이 높을수록 경조사․교제비 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성은 연령이 적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 경우, 거주지역이 서울보다 도에 거주할 경우, 소득이 높을수록, 자산이 많을수록 경조사․교제비 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회적 참여소비지출은 연령이 적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자산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득과 성별의 상호작용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남성은 소득이 높을수록 전체 사회적 참여소비지출이 유의하게 높았고, 여성은 연령이 적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거주지역이 서울보다 도에 거주하는 경우, 소득이 높을수록, 자산이 많을수록 전체 사회적 참여소비지출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노인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은 성별의 영향이 확연하게 다르게 나타났다. 문화․여가활동비나 경조사․교제비 등에 있어서 남성은 소득이, 여성은 소득과 자산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소득은 직업과 근로능력의 중요성을 의미하며, 자산은 가계자산관리 및 장기적인 금융소비자교육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종교유무, 거주지역, 취업여부 등의 인구학적 특성과 소득․자산․부채 수준 등의 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맞춤형 노인 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며, 젊은 나이부터 노년기를 대비한 사회적 참여의 확대 및 자신의 재무 설계와 관리, 취업 관리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and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expenditures by consumption expenditure item and explored the determinants of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of older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a focus on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culture and recreation,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and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by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having- religion, residential area and employment status, economic variables such as income, asset and debt, and health status.
    For this purpose, OLS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a sample of 760 single householder aged 65 years or older in the third survey data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2009).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First, the level and the proportion of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were highest and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and culture and recreation were followed. Women spent less on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than men. And women spent 60 % of men’s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was normal good and necessary. The income elasticity of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culture and recreation, and congratulatory/condolence were higher than Engel’s coefficient and less than 1.0.
    Second, educ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ransportation expenditures. Older single-person householders residing in town in provinc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ransportation than those residing in Seoul. Older single-person householders who had diseas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ransportation than those who didn’t have.
    Third, income and deb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 expenditures, while ag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 expenditures.
    Fourth, religion and asse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Income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Incom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for men and asse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for women. Men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recreation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Men residing in town in provinc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recreation expenditures than those residing in Seoul. And income elasticity of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was much greater for men than for women.
    Fifth, older single-person householders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congratulatory/ 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Income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Incom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for men and income and asse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for women. Ag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while educ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for women. Women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Women residing in town in provinc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than those residing in Seoul.
    Sixth, ag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while asse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Older single-person householders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Income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Incom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for men and education, income and asse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for women. Women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Women residing in town in provinc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than those residing in Seoul.
    Finally,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older single-person householders were apparently changed by gender. Income had an effect on culture and recreation, and congratulatory/ 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for men, and income and asset had an effect on culture and recreation, and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for women. Income has an emphasis on jobs and working capability, while asset has an emphsis on the household asset management and long term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Results from this study offer that customized support system differentiated by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having-religion, residential area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income, asset and debt should be needed. Furthermore, it should be needed to educate their financial planning and job management, for individuals and households from young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