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남 최부의 정치 활동과 인재관 –성종 17년 重試 책문과 최부의 대책문을 중심으로- (Geum-Nam(錦南) Choi-Bu(崔溥)’s political activities and model of Talented -Focus o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科擧) in 17th reigns in King Seong-Jong and choi-bu’s answer of examination(對策)-)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8.02
29P 미리보기
금남 최부의 정치 활동과 인재관 –성종 17년 重試 책문과 최부의 대책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49권 / 199 ~ 227페이지
    · 저자명 : 안소연

    초록

    최부는 성종대에 활약한 사림이다. 여말선초 길재의 문인으로 건국 초에 은거한 주자성리학자 집안에서 성장하였으며, 점필재 김종직(1431~1492)의 문인으로 『동국통감』, 『동국여지승람』 등의 편찬에 참여하면서 성종대 문물제도 정비에 기여하였다. 또한 김굉필과 함께 김종직의 학풍을 영호남 지역에 전파하여, 영호남 사림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최부는 성종대에 두 차례 과거 시험을 치렀는데 그 중 성종 17년 重試의 경우 그 책문을 성종이 직접 지었고 내용 또한 인재 등용에 대한 것이었으며, 최부가 이 시험에 亞元으로 합격한 대책문이 전하고 있다. 따라서 성종 17년 책문과 대책문은 최부와 같은 성종대 사림이 추구한 이상적인 인재관을 알 수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성종 17년 重試 책문을 통해 요순시대를 이상세계로 추구하고 있으며, 한당 시대는 반면교사의 대상으로 언급되고 있다. 그러면서도 요순과 한당에서 각각 장단점은 없는지 또한 물어보면서 보다 객관적이고 확실한 인재관을 구축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가장 이상적인 인재상은 요순시대의 고요와 기 같은 인물이며, 당시 조선에 이러한 인물이 나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최부의 대책문에 드러난 인재관은 다음과 같다. 우선 왕 혼자서 천하를 다스릴 수 없으며 현인의 도움을 받아야 좋은 정치가 이룩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중국 고대의 聖君으로 불리는 堯舜 또한 신하들의 보좌를 받아서 태평성대를 이룩한 것이며 漢唐 시대에는 그러지 못했기 때문에 태평성대가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평하고 있다.
    그리고 이 앞서 논한 것을 바탕으로 현재 조선이 태평성대를 이루기 위해서는 임금(성종)이 현자들을 포용하여 이들과 함께 다스려야 하며, 이를 위한 재상의 역할을 매우 강조하였다. 또한 인재를 선발하는 임금의 안목을 굉장히 강조하고 있다. 임금이 스스로를 잘 닦지 않으면 인재를 분별하는 안목이 사라지게 된다고 경고하고 있으며, 나아가 임금이 기강을 세워야 眞儒가 등용되고, 賢相도 등단하게 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Choi-Bu(崔溥) was one of Sarim faction(士林) in King Seoung-Jong’s reign. His grandfather was a pupil of Gil-Jae(吉再) who Loyalis of the late Goryeo Dynasty, so Choi-Bu(崔溥) grown up Confucian scholar’s family. He was disciple of JeomPilJea(佔畢齋) Kim-JongJik(金宗直). He participated in the compilation of books, like 『DongGookTongGam(東國通鑑)』, 『DongGook- YeoJiSuengRam(東國輿地勝覽)』. And Choi-Bu(崔溥) spread Kim-JongJik(金宗直)’s academic traditions in Youngnam(嶺南) and Honam(湖南) Regions.
    Choi-Bu(崔溥) took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科擧) twice, 13th reigns and 17th reign in King Seong-Jong. From among these,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科擧) of 17th reigns in King Seong-Jong is worthy of notice. Because King Seong-Jong make up questions of engagement of talented himself and Choi-bu was proxime accessit that examination. So I think question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科擧) in the 17th year of Seong-Jong and Choi-Bu’s answer of examination(對策) are important source of understanding ideal talented model in King Seong-Jong’s reign.
    The content of a question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科擧) in 17th reigns in King Seong-Jong shows that Sarim faction(士林) in King Seoung-Jong’s reign pursued the reign of peace Emperor Yao and Shun(堯舜) in ancient China and critical of the after Han dynasty and Tang dynasty. Meanwhile, King and sarim factions wanted to build an objective ideal telented model by comparing the two era and asking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examination. At last, the most ideal talented model is wise vassal in the reign of peace Emperor Yao and Shun(堯舜), like Gao-Yao(皐陶) and kui(虁) and asks how these talented people come from Joseon.
    Choi-bu argued in his answer that king couldn’t reign by himself but could do good politics only with the help of his wise vassal. Then He analysed the reign of peace Emperor Yao and Shun(堯舜) in ancient China and attributed it to the support of vassals. Contrastively, the after Han dynasty and Tang dynasty didn’t emulate Emperor Yao and Shun(堯舜). So he analysed in the after Han dynasty and Tang dynasty, the era of peace has not formed.
    Based on the former discussion, Choi-Bu emphasized that the king Seong-Jong must embrace and reign with the wise vassal in order for Jo-Seon dynasty to achieve its peaceful era and stressed role of prime minister(宰相) for this. At last, Choi-Bu also set great store by the king's perception of selecting talented people. He warned If the king does not studying hard himself, the judgment of identifying talented people will disappear. And He said Only when the king strengthens the discipline himself can the true scholar(眞儒) be promoted, and the wise minister(賢相) takes the st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