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崔興遠의 『曆中日記』를 통해 본 영남선비의 일상 (Everyday Life of Scholars in Yeongnam Through 『Yeok-joong-il-gi』 of Choi Heung-W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5.12
30P 미리보기
崔興遠의 『曆中日記』를 통해 본 영남선비의 일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45권 / 45호 / 71 ~ 100페이지
    · 저자명 : 오용원

    초록

    『曆中日記』는 百弗庵 崔興遠(1705~1786)이 1727년부터 1786년까지 약 60년 동안 기록한 전형적인 생활일기이다. 이 일기에는 하루의 간지와 일기 상태를 비롯하여 농사 형편, 교유 관계, 유람 일정, 질병과 이를 대처하는 자세, 사회적 모순과 부조리에 대한 반성적 표출, 부인동 동약, 종중의 대소사 등 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사가 사실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역중일기』의 작성 배경 및 구성, 그리고 18세기 대구지역에 거주했던 향촌 엘리트의 일상과 이 일기가 갖는 몇가지 가치를 살펴보았다.
    『역중일기』의 기록자는 영남지방 향촌사회에서 주로 활동하면서 당시 대구지역을 비롯하여 李象靖, 郭東朝, 李徑祿, 李聃命 등 다양한 인물들과 교유하며 인적 관계망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인적 관계망을 통하여 조선 후기 대구를 중심으로 한 사림들의 동향을 검토할 수 있었다. 특히 그가 李瀷에게 자제들의 교육을 맡긴 사실 등을 감안한다면, 18세기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한 기호사림과의 교유 관계망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은 학술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을 것이다. 또한 『역중일기』에는 기록자가 『대구부읍지』, 『禮儀補遺』, 『磻溪隨錄』 등의 교정에 적극 참여하였음을 볼 수 있고, 그 진행 과정과 일상들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가정에서 지내는 제례의 다양한 모습과 향내에서 지내는 기우제의 儀式이 잘 기록되어 있다.
    『역중일기』는 방대한 기간과 양, 그리고 당시 대구지역을 비롯하여 영남지방 향촌사회에 매우 지명도가 높은 인물이 기록한 일기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학계에 소개되지 않았다. 조선시대에 작성된 일기는 개별 자료마다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고, 일상의 사소한 부분을 포괄적으로 수록한 텍스트이다. 미시적 관점에서 볼 때, 『역중일기』는 백불암의 문자활동을 비롯하여 18세기에 영남지방 선비들의 일상을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영어초록

    『Yeok-joong-il-gi』 is a life diary which was written for 60 years from 1727 to 1786 by Baek-Bul-Am Choi Heung-Won(1705~1786). In 『Yeok- joong-il-gi』, everyday affairs of noblemen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s the sexagenary cycle and weather condition of the day as well as farming conditions, social relationship, sightseeing schedule, disease and attitude of coping with diseases, self-reflective expression towards social absurdities and irrationality, Buindong-Dongyak, and all household matters of a clan are recorded realistically. By focusing on this respe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ackground and composition of 『Yeok-joong-il-gi』, everyday life of elites of country districts who resided in Daegu in 18th Century, and values of the diary.
    The recorder of 『Yeok-joong-il-gi』 associated with and formed human network with various characters as Lee Sang-Jung, Kwak Dong-Joo, Lee Kyung-Rok, and Lee Dam-Myung in rural community of Yeongnam district.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review trends of scholars around Daegu in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human network. Specially, considering that he entrusted education of his children to Lee, Ik, the portion of assessing relational network with scholars he preferred around Daegu region in 18th Century will not be small in academic history. Also in 『Yeok-joong-il-gi』, it is evident that the recorder actively participated in proofreading the 『Daegu Chronicle』, 『Yeuiboyu』, and 『Bangyesurok』, and the process and daily routine are well documented here. Also, various ancestral ritual ceremonies held at home and ritual ceremony for rain in country districts are well documented.
    『Yeok-joong-il-gi』 is not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yet even though it was recorded by a very well-known person in Daegu as well as in rural society in Yeongnam districts at the time over a vast period of time. Diaries written in Joseon Dynasty have unique characteristics by individual data which recorded minor part of life comprehensively. From microscopic point of view, 『Yeok-joong-il-gi』 is considered to prepare opportunities to review character activity of Baek-Bul-Am as well as everyday life of scholars in Yeongnam district of th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