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촛불 사회운동에 참여한 청년 주체의 탈정치화: 발리바르의 극단적 폭력과 인간학적 차이의 관점에서 (Depoliticization of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Candlelight Social Movements: Based on the Étienne Balibar's Theory of Extreme Violence and Anthropological Differences)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3.02
47P 미리보기
촛불 사회운동에 참여한 청년 주체의 탈정치화: 발리바르의 극단적 폭력과 인간학적 차이의 관점에서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신뢰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사회운동의 심층적 메커니즘을 학술적으로 분석
    • 📊 청년 세대의 정치적 주체성 변화 과정 탐구
    • 💡 탈정치화의 복합적 사회구조적 원인 제시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57권 / 1호 / 37 ~ 83페이지
    · 저자명 : 이해진

    초록

    이 연구는 사회운동에 참여한 청년 주체들이 예속적 주체로 변형되는 탈정치화의 조건과 과정들을 탐색했다. 탈정치화를 능동적 시민이 무력화되고 예속적인 주체로 변형되는 과정으로 개념화하고, 발리바르의 극단적 폭력론과 인간학적 차이의 논의들을 이론적 자원으로 활용해서 탈정치화의 양식과 사회적 조건들을 조명했다. 이러한 문제틀을 바탕으로 2008년 촛불집회에 참여했던 당시 청소년들을 추적 조사해서 패널자료를 구축하고 이들의 생애과정과 탈정치화 경험을 면접조사하는 경험적 연구를 수행했다. 분석 결과, 촛불 청년들 중에는 청소년기에 봉기에 참여함으로써 능동적 시민으로 주체화되는 과정을 겪었지만, 이후 생애과정의 사회화 속에서 정치적 주체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반정치의 폭력을 경험하며 탈정치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정세 속에서 계급 격차와 노동시장 불평등은 사회운동에 참여한 청년들을 탈정치화하는 자본주의적 구조적 폭력으로 작용했다. 또한, 일상과 SNS의 사회적 관계망에서의 정치 혐오와 적대, 제도정치와의 동일시, 사회운동에서의 동일성의 폭력이 증오의 이상화를 통해 배제와 검열의 공포로 몰아넣는 초주체적 폭력으로 작동하며 촛불 청년들의 탈정치화를 초래했다. 마지막으로 능력주의와 젠더갈등은 인간학적 차이를 차별하고 배제하면서 예속적 주체를 생산하는 탈정치화에 영향을 미쳤다. 종합하면 자본주의적 폭력과 대중들의 사회적 관계에서의 동일성의 폭력, 그리고 인간학적 차이로 인한 불평등이 사회운동에 참여한 능동적 시민 주체들을 무력화하고 예속화하는 탈정치화의 양식이자 기제임을 발견하였다. 불평등은 탈정치화를 가져오는 사회적 요인이다. 결론을 대신해서 탈정치화에 맞서 새로운 정치와 민주주의, 주체화의 가능성에 대한 사유와 실천의 방향을 모색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conditions and processes of depoliticization in which young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social movements were transformed into subjugated being. This article conceptualized depoliticization as a process in which active citizens are incapacitated and transformed into subordinated subjects and used Balibar's theory of extreme violence and anthropological difference as theoretical resources to examine the form and social conditions of depoliticization. Based on this problematic framework,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by follow-up research on the youths who participated in the 2008 candlelight vigils, constructing panel data and interviewing their life course and experience of depoliticiz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andlelight youths experienced subjectivation as active citizens by participating in the uprising in their adolescence but later experienced anti-political violence in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life, distrusting politics or considering it impossible. In the conjunctur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class divide and labor market inequality as capitalist structural violence depoliticized young people. The violence of the identification as ultra-subjective violence that idealizes hatred has resulted in depoliticization. The meritocracy and anti-feminism produced by the anthropological differences of intellectual ability and sexual differences affected depoliticization while operating as the violence of identification. In summary, we can find that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extreme violence, and inequality due to anthropological differences, produced by capitalist violence and the violence of identity in social relations, are mechanisms of depoliticization that neutralize and subjugate active citizens. Therefore, inequality is a fundamental social factor that produces depoliticization. In conclusion, it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ought and the practice for seeking new politics, democracy, and subjectivation against depolitic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