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종실록』을 통해본 조선초 효문화의 특징과 문제 (Features and Issues in Filial Piety During Early Chosun Dynasty Based on Shizongshilu(世宗實錄))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4.06
35P 미리보기
『세종실록』을 통해본 조선초 효문화의 특징과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효학회
    · 수록지 정보 : 효학연구 / 19호 / 31 ~ 65페이지
    · 저자명 : 김덕균

    초록

    효행은 부모에 대한 자녀의 기본 도리이다. 백행의 근본이 되는 까닭이다. 동물과 다른 인간만의 고유한 도덕적 가치이기도 하다. 내리사랑은 모든 동물의 본능적 행위이지만, 받은 사랑을 돌려드리는 것은 오로지 인간만이 갖는 특징이다. 부모의 사랑은 생후(生後) 받았기 때문에 효행도 삶 속에서의 부양이 핵심이었다. 몸을 부양하는 것[養口體]도, 뜻을 받드는 것도[養志]도, 마음으로부터 공경하는 것도 살아생전의 문제였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효행의 중심이 상·제례로 옮겨가면서 생전의 효행보다는 사후의 효행, 즉 시묘형 효행이 효의 기본 가치가 되었다. 효가 종교적, 절대적 가치로 전환한 것이다. 이를 표창하고 포상하는 제도까지 나왔다. 3년상도 모자라 연이은 초상도 아닌데, 오래전 돌아가신 부모상을 소급해서 4년, 6년상을 치루는 일도 생겼다. 백행의 근본인 일상적 효행, 그래서 누구나 당연히 해야할 평상적 효에서, 좀더 시간적, 경제적 헌신과 희생이 요구되는 시묘형 효행으로 옮아갔다. 효행이 누구나 하기 힘든 특별한 일이 된 것이다. 또 효행자를 추천받아 포상하는 제도가 활성화 되면서 객관적 효행근거를 필요로 하는 관리자 입장에서도 일상적 삶에서 표현된 눈에 띄지 않는 효행보다는 여러 사람이 볼 수 있고, 확인 가능한 공개된 효행사례를 찾게 되었다. 시묘형 효행이 무엇보다 우선되는 효소가 된 것이다. 또 한편으론 엄청난 희생과 결단을 요구하는 ‘할고단지(割股斷指)’와도 같은 희생형 효행도 경전상의 효행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효의 표본이 되었다. 그것으로 효행 표창을 받은 경우는 효를 일반과 대중으로부터 멀어지게 한 요소가 되었다. 이런 점에서 전통적 효행의 특성은 일반사람들이 감내하기 힘든 희생과 헌신이 수반되었다는 점에서 부담으로 작용한 것이다.

    영어초록

    Filial piety is a fundamental responsibility of child to his/her parents which is a unique ethical behavior of human beings. Most animals take care of their offspring, but only humans return the love to their parents. The responsibilities in filial piety include taking care of one’s parents, and being obedient, polite and respectful. All of these activities need to be done while parents are still alive. During early Chosun Dynasty, however, the bases of filial piety were changed to emphasizing a rite, an individual worships for their parents after death (3年喪). In other words, filial piety became a religious act. Even governments and/or social organizations encouraged this religious conduct by awarding filial children. These organizations tended to find more extreme cases of filial piety, causing over-acting like having four to five years of funeral periods, instead of three years which was common in Chosun Dynasty. Three years’ a funeral requires more time and energy, therefore, filial piety became a very difficult and special behavior, resulting in a burden to ordinary people in early Chosu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효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