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네팔 이주노동자의 송금과 초국적 가족의 변화 (Remittances of Nepalese Migrant Workers in Korea and Changes of Transnational Family)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2.06
48P 미리보기
국내 네팔 이주노동자의 송금과 초국적 가족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디아스포라연구 / 16권 / 1호 / 7 ~ 54페이지
    · 저자명 : 김경학

    초록

    송금은 초국적 이주자의 본국 가족과의 초국적 관계 유지에 가장 중요하고, 단순한 경제적 가치를 넘어 돌봄과 애정의 전달 매개로서 가족 결속의 강력한 징표가 된다. 이 연구는 14명의 국내 네팔 이주노동자의 ‘민족지 자료’를 토대로, 이들의 송금이 네팔에 남아 있는 가족원과 ‘분배・소비’되는 ‘현금 순환’이 지닌 ‘사회・문화적’ 의미를 이주자와 남아 있는 가족 간의 ‘초국적 도덕성’과 젠더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 연구의 이주노동자들은 가족의 일상적 소비뿐만 아니라, 이주자 본인과 가족의 미래의 삶을 위한 저축과 투자 등을 위해 일정 액수를 정기적으로 송금하고 있다. 이들의 송금은 한국으로의 이주노동이 아니었으면 상상하기 어려운 가족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고 있으며, 송금은 부모, 형제자매, 배우자 또는 자녀처럼 ‘진한 피’가 흐르는 범위 안에서 공유・소비됨으로써 네팔 초국적 가족의 ‘가족다움’ 구현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초국적 가족 간의 상반된 도덕성 요구와 기대 및 실망은 송금과 관련한 ‘도덕적 붕괴’가 일어날 수 있는 순간들로서, 이는 이주자와 남아 있는 가족 간 관계에 긴장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향후 가족 관계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기혼 남성 이주자들은 가족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현금과 부동산을 소유함으로써, 성공한 아버지와 남편으로서의 남성성 강화를 통해 기존 가부장적 질서의 유지나 공고화가 가능해 보인다. 대부분 미혼인 이 연구의 여성들은 한국 이주 이후 가족의 주 수입원이 됨으로써, 남성 중심적인 가족 내 기존 의사 결정 체계에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이주여성들은 토지 등 부동산의 ‘남계 상속체계’맥락에서 상상하기 어려운 여성 자신 명의의 토지를 소유함으로써, 기존 남성 지배체계에 도전적이며, 경제적 자율성 확보로 가족 내 젠더 관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Remittance is the most important for transnational migrants to maintain transnational relations with their families back home, and is a powerful marker of family solidarity as a medium of care and affection beyond simple economic value.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transnational practice of remittance by Nepalese migrant workers in Korea on their transnational family relations between the migrants and the family members in Nepal.
    Based on ethnographic data of 14 Nepalese migrant workers, this study explored socio-cultural meaning of ‘monetary circulation’ in which their remittances are distributed and consumed with family members in Nepal, specially focusing on ‘transnational morality’ and ‘gender relations’ between migrants and their families back home. First of all, remittance plays a decisive role in improving the educational and medical welfare and living standards of the family members in Nepal. Nepalese migrant workers regularly remit a certain amount of money not only for their family’s daily consumption, but also for savings and investment for the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in the future. Their remittances satisfy the diverse needs of families that would be difficult to imagine without their migrant labor to Korea.
    The conflicting moral demands, expectations, and disappointments between migrants and family members in Nepal are the moments where a ‘moral breakdown’ related to remittance may occur, which acts as a tension factor in the relations between migrants and the remaining family members. The tension factors seem to be able to lead to changes in transnational family relations in the future.
    Regarding remittances and gender relations, married male migrants own cash and real estate to show family’s prestige by owning a modern multi-story house and preparing a dowry for daughter. As a result, migrant men seem to be able to maintain or consolidate the existing patriarchal order by strengthening their masculinity as successful fathers and husbands.
    Migrant women in this study showed remittance loyalty to their families by sending a higher rate of remittance, despite a lower salary than male migrants in the manufacturing sectors. The women, mostly unmarried, became the main source of income for their families after emigrating to Korea, and it seems to have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existing decision-making system in male-dominated families. Most of migrant women in this study owned land in their own name, which is difficult to imagine in the context of the agnatic primogeniture system of real estate such as land. As a result, these women are challenging the existing male-dominated family system, and it seems that they will be able to bring about a change in the gender relations within their families by securing economic autonomy through having small-scale self-employed sto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아스포라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