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중등 역사교과서의 삼국 시대 영역 표기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issue of marking the territor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Secondary school textbooks According to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2.02
38P 미리보기
초·중등 역사교과서의 삼국 시대 영역 표기에 대한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81호 / 37 ~ 74페이지
    · 저자명 : 조영광, 정호섭

    초록

    한국 고대사에서 삼국이 중앙 집권적 영역국가로 성장하고 본격적인 경쟁을 전개한 4~6세기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중등 역사 교과서에서도 해당 시기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점은 동일한 4~6세기 삼국의 영역을 두고서 초, 중, 고교의 학교급을 막론하고 교과서마다 적지 않은 편차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고대 삼국의 영역 관련하여 학계에서는 국가와 시기별로 다양한 주장들이 제기되었다. 관련 학설들을 교과서 기재 내용과 지도를 중심으로 풀어보면, 고구려의 북‧서‧동방의 경계와 백제의 요서 진출설, 5세기 백제와 가야의 경계 등으로 요약된다.
    고구려의 북방 경계 관련하여서는 늦어도 4세기 중반에는 고구려가 북부여 중심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여 영역을 확보하였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서방 경계의 경우 고구려가 요동반도 전체를 영역화하는 시기가 대체로 4세기 말이므로 그 이후 시기의 지도에는 요동반도 전역을 고구려 영토로 표기하여도 무방할 듯하다. 동방 경계는 고구려가 이른 시기부터 한반도 동해안 지역으로 진출한 기록이 존재하고, 늦어도 3세기 후반에는 동해안 지역 지배의 거점인 두만강 유역의 책성을 영역화한 것이 확실하므로 그 이후 시기 고구려 영역 지도에는 해당 지역을 포함시켜야 한다.
    백제 영역과 관련하여 요서 진출 문제는 고고학 증거의 부재와 사료의 문제점 등을 이유로 다수의 한국 고대사 연구자들이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5세기 백제와 가야의 경계도 주의 깊게 살펴볼 부분이다. 가야사 관련 발굴 성과가 늘어나고 연구가 활성화되면서 5세기 무렵 후기 가야 연맹의 세력권이 섬진강을 넘어 호남 동부 일원에 미친 것으로 보는 연구 성과가 다수 나왔다. 이는 주로 대가야계 토기의 분포와 같은 고고학 자료에 근거한 것으로 현재 학계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다만 그러한 분위기에 편승하여 후기 가야의 영역을 지나치기 호남 쪽으로 확대 설정한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데, 대가야계 토기의 집중 출토지를 중심으로 보다 학계가 모두 동의하는 선에서 영역 표기에 주의할 필요성이 있다.

    영어초록

    In ancient Korean history, the 4th to 6th centuries, when the three kingdoms grew into a centralized state and competed in earnest, have an important meaning. Therefore, this period is also treated as important in secondary history textbooks. However, the problem is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show serious deviations in the territory of the three kingdoms in the 4th and 6th centuries.
    Various theories have been raised on the territorial issues of the ancient three kingdoms of Korea. If you focus on the contents and maps of the textbook, it is summarized as Goguryeo's border between the north, west, and east, Baekje's occupation of Liaoxi, and the border between Baekje and Gaya in the 5th century.
    As for the northern boundary of Goguryeo, it is appropriate to assume that by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at the latest, Goguryeo secured most of the Buyeo area except for the center of Bukbuyeo. In the case of the Western border, Goguryeo generally territorialized the entire Liaodong Peninsula at the end of the 4th century, so the entire Liaodong Peninsula should be marked as Goguryeo territory on a map of the period after that. As for the eastern border, there is a record of Goguryeo advancing to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period, and it is certain that the Tuman River basin, the base of control of the eastern coast, was territorialized at the latest in the late 3rd century. Therefore, the area must be included in the Goguryeo area map during the period after that.
    Many researchers of ancient Korean history have a negative stance on the issue of Baekje's occupation of Liaoxi due to the lack of archaeological evidence and problems with literature data. The issue of the boundary between Baekje and Gaya in the 5th century should also be approached carefully. Recently,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history of Gaya have increased, and related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s a result, around the 5th century,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late Gaya alliance crossed the Seomjin River and reached the eastern part of Honam. This is mainly based on archaeological data such as the distribution of Daegaya-type earthenware, and many researchers agre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