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초 한국의 서양철학 연구와 전개 양상 (The Western philosophy research and developmental Aspects by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0.06
35P 미리보기
20세기 초 한국의 서양철학 연구와 전개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대학교양교육연구 / 5권 / 1호 / 27 ~ 61페이지
    · 저자명 : 신현승

    초록

    19세기 후반의 조선, 20세기 초엽의 근대 한국에 있어서 대다수 지식인층의 학문적 배경에는 뿌리 깊은 유교적 전통이 남아있었다. 이로 인해 근대 한국에서의 초기 서양철학 연구도 유교적 지식과 언어를 통해 서양철학을 이해하고 해석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근대 한국 최초의 서양철학 연구자라 할 수 있는 이정직과 이인재의 경우도 그러하였다. 이 두 사람은 유교적 소양의 토대 위에서 서양철학을 이해하고 해석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뒤를 이어 서양철학 연구는 본격화된다. 많은 조선의 젊은이들은 1910년 이후 1920-1930년대에 걸쳐 서양철학을 공부하기 위해 유럽과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다. 1920년대 후반부터는 식민지 상황 하에서도 국내에서의 서양철학 연구가 본격적 궤도에 오른다. 또 1930년대는 철학연구회가 결성되고 『哲學』이라는 최초의 철학 학술잡지까지 창간되면서 국내에서의 서양철학 연구는 더욱 활성화된다. 따라서 이 논고에서는 이상과 같은 간략한 사항을 전제에 놓고 근대기 한국에서의 서양철학의 수용과 전개 양상에 관해 통시적 시각에서 개괄하고 고찰하였다.
    본문의 첫째 장에서는 철학이라는 용어의 번역과 그 과정에서 작동하는 동아시아 전통 학문으로서의 유교적 요소에 관한 탐구를 진행하였다. 그 후 철학이라는 용어가 근대 한국 사회에 전파되어 사용되기 시작한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이어서 서양철학 연구의 출발점으로서 혹은 서양철학 연구의 선구자로서 이정직과 이인재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본문의 둘째 장에서는 서양철학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1910년대 이후부터 1945년 이전까지(좁게는 1930년대)의 한국에서의 서양철학 연구의 전개 양상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당시 서양철학을 배우기 위해 유럽과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 인물들에 대해 고찰하고, 그들의 인생과 언론에서의 평가 및 서양철학 연구의 실상이 어떠했는지 등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이어서 1920년대 후반의 경성제대 철학과의 의의와 졸업생의 면면 등을 포함하여 국내에서의 서양철학 연구현황을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The area In Joseon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modern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deeply rooted Confucian tradition remained in the academic background of most intellectuals. Accordingly, there was a strong trend of early studies of Western Philosophy in modern Korea, too, to understand and interpret Western Philosophy through Confucian knowledge and language. This was the case in Lee Jeongjik and Lee Injae, who were the first researchers of Western Philosophy in modern Korea. These two persons understood and interpreted Western Philosophy on the foundation of Confucian literacy. Also, following them, studies of Western Philosophy became in earnest. Many young people in Joseon went to Europe and Japan to study Western Philosophy over the 1920s through 1930s, starting from 1910. Studies of Western Philosophy were started in the right direction in Korea in spite of colonization since the late 1920s. In addition, in the 1930s, as the Philosophical Research Society was organized and the first academic journal of Philosophy, Philosophy was published, studies of Western Philosophy in Korea became further revitalized. Therefore, presuming the above brief matters, this study summarized and discussed the aspects of the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Western Philosophy in Korea in modern times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The first chapter of the body text explored the translation of the term, Philosophy and the Confucian elements as East Asian traditional studies operating in this process. This chapter also examined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term, Philosophy was spread and began to be used in modern Korean society. In addition, it discussed Lee Jeongjik and Lee Injae as the starting point of Western Philosophy research or pioneers of studies of Western Philosophy. The second chapter discussed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studies of Western Philosophy in Korea from 1910 through 1945 (In the 1930s, narrowly) when the research on Western Philosophy began in earnest. In addition, the chapter discussed the persons who went to Europe and Japan to learn Western Philosophy at the time and analyzed what their lives, evaluations in the media and studies of Western Philosophy were like. Following that, the chapter discussed the status of studies of Western Philosophy in Korea, including the significance of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various aspects of graduates in the late 192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