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국경적 특허발명의 실시와 특허권 침해 (Patent infringement by cross-border activit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8.12
34P 미리보기
초국경적 특허발명의 실시와 특허권 침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성균관법학 / 30권 / 4호 / 489 ~ 522페이지
    · 저자명 : 김동준

    초록

    특허권의 속지주의 원칙에 따르면 특허권은 등록된 국가의 영역 내에서만 그 효력이 미치게 된다. 하지만 글로벌화‧네트워크화에 의해 특허발명의 실시가 국경을 넘어 국제적인 양상을 띠고 있어 특허발명을 실시하고 있는 장소인 국가는 어디가 될 것인지(서버의 소재지인지, 서비스를 받는 단말소재지인지, 아니면 서비스 제공자 소재지인지) 문제된다.
    우선 (i) 발명을 구성하는 물건이나 공정의 전부가 물리적으로 국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침해를 구성하지 않는다고 하는 해석이 속지주의 원칙으로부터 논리필연적으로 도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 (ii) 특허권의 속지주의 원칙이 채용되어 있는 국가에서도 시스템이나 방법의 일부가 해외에 존재 혹은 해외에서 행해진 경우에도 특허권의 침해를 인정한 재판례가 존재한다는 점 및 (iii) 디지털‧네트워크 기술환경에서 빈발하고 있는 초국경적 특허발명의 실시에 대응할 필요성 등을 고려하면, 속지주의 완화의 가능성과 필요성은 인정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지의 유연한 해석과 관련하여 구체적 해석방법 중에는 결국 기존 특허법 체계와 친화성이 있는 ‘주된 행위지’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인데, 구체적 판단 기준 마련은 입법에 의한 해결보다는 결국 판례의 축적에 의해 기준이 마련됨으로써 대응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주된 행위지를 검토함에 있어서는 (i) 실시행위에 대한 주된 의사판단 주체의 물리적 소재지, (ii) 실시행위에 의해 실현되는 특허발명의 기술적 효과의 주된 발현지‧귀속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기준은 미국 판례에서 제시된 ‘관리와 유익한 사용(control and beneficial use)’이라는 기준과도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판단기준은 발명의 카테고리에 관계없이 시스템 발명이든 방법 발명이든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네트워크 관련 발명의 경우 시스템(물건)의 생산‧판매를 중심으로 경제적 이익을 향수하는 것이 아니라, 주로 시스템의 ‘사용’을 통해 이익을 창출하며, 네트워크 관련 발명의 경우 ‘방법’ 발명으로 청구되는 경우도 상당하다. 따라서 네트워크 관련 발명의 경우 실시행위 중 ‘사용’ 태양에 대한 검토가 중요해지는데, ‘사용’ 행위를 형식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특허법의 취지에 맞게 규범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해석론으로 대응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하되, 해석론에 의한 대응에 한계가 있을 경우 네트워크 관련 발명 특유의 실시 태양을 실시 규정에 포함하는 방안도 향후 추가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복수주체가 관여하는 초국경적 실시’의 경우 기본적으로 속지주의 문제와 복수주체 문제 모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고, 결국 복수주체의 실시 전체에 대한 규범적 평가 결과 그 실시가 ‘국내 실시’로 인정될 것인지, 그리고 복수주체 중 누구에게 침해책임이 인정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해 검토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Under the principle of territoriality, a patent granted in one country has no effect beyond the territorial boundary of that country and cannot be infringed upon in other countries. However, since cross-border working of a patented invention is increasing due to the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l networking,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country where the patented invention is being worked (whether it is the location of the server,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receiving the service, or the location of the service provider).
    First of all, the interpretation that patent infringement does not exist unless all elements of a patented invention (a product or a process) are physically present in the country is not inevitably derived from the principle of territorialit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ase law of the U.S., the U.K. and Germany, even where the patented system or method is partly worked abroad, it may still constitute patent infringement.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cross-border patent infringement situation that is frequent in the digital and network technology environment. Thus,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flexible interpretation of territoriality can be recognized.
    Next, in relation to the flexible interpretation of territoriality, it would be a solution to determine the place of patent infringement based on where the ‘main act’ has been performed. The ‘main act’ test has an affinity with the patent law system and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test can be established by accumulation of cases. When determining where the ‘main act’ has been performed,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factors such as (i) the physical location of the decision maker of the working and (ii) the place where the technical effect of a patented invention is realized. This test, which is similar to the ‘control and beneficial use’ criteria set out in the US case law, should be applied equally regardless of the category of the invention, whether it is a system claim or a method claim.
    By the way, in case of network related inventions, profit is usually generated through ‘use’ of the system rather than through manufacture and sale of the system. In addition, many network related inventions are claimed as processes. Therefore, the working act of ‘use’ is more important than before when determining patent infringement. In these situations,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meaning of ‘use’ of the product or process, not formally but normatively. Furthermore, if it is not sufficient to cope with cross-border patent infringement with these interpretations, it will be necessary to amend the provisions of infringing act to incorporate the specially adapted infringing act in relation to network-related inventions.
    Finally, in case of cross-border working of a patented invention carried out by a plurality of actors, both the issue of divided infringement and the issue of territoriality matter. In this situation, it should first be determined whether the infringing act has been committed in this country or not and, if so, it should then be determined who among the plurality of actors is responsible for the infringing 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균관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