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양의 초(超)합리주의와 접경(接境)의 문명론 (The Eastern Trans-Rationalism and the Emergence of New Civilization in the Border Area)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07.12
47P 미리보기
동양의 초(超)합리주의와 접경(接境)의 문명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헤겔학회
    · 수록지 정보 : 헤겔연구 / 22호 / 289 ~ 335페이지
    · 저자명 : 유헌식

    초록

    서구의 합리성 자체는 사태에 대한 이성적인 판단을 근간으로 한다는 명목 아래, 실제에서 그 합리성은 자기중심적 이성의 확산과 지배로 나타난데 반하여, 동양의 초(超)합리성은 서양의 합리성이 지닌 평면적인 적용을 극복하여 자-타 중심적인 수평적 인간관계를 정립하는입체적 구상에 기여할 수 있다. 서구의 합리성이 지닌 당위적 윤리성은 사실적 비윤리성로 판명되고 있는 지금 동양적인 초합리성은 서구적 합리성의 비윤리성을 넘어서 새로운 차원의 윤리를 정립하면서도그것이 자기중심적이지 않은, 그럼으로써 그것의 객관적인 타당성을인정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야 한다. 디지털 시대의 가속화와 더불어상호 평등과 균등의 민주주의적 가치가 확산되고 있는 지금 이 추세에반하는 비윤리적인 합리주의는 점차 설 땅을 잃게 될 것이고 이에 상응하는 대안을 아시아적 사유는 마련해야 하고 또 마련할 수 있다고본다.
    중심도 아니고 주변도 아니지만 또한 중심이면서 주변이기도 한 그러한 중간 구역에서 문명 전환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그런 한에서이 지역은 변화와 혁신이 가능한 경계구역이다. 경계구역에서는 다양한 중심들이 서로 접한다. 그래서 경계구역은 이것도 저것도 아니면서또한 이것도 저것도 되는 활동적인 유동체이다. 중심들의 주변이 만나서 경계를 이루고 경계에서 접점(接點)이 생긴다. 바로 이 접점이 문제다. 접점은 모호한 영역으로서 불확실과 혼돈이 지배하지만 이는 새로운 나의 형성을 위한 필수조건이다.
    요컨대, 새로운 문명은 인간을 타자 조건적인 유동적인 존재 그리고시간적으로 연속적이면서도 불연속적인 존재로 이해하는데, 인간의이러한 초합리주의적 특성에는 스스로 새로워질 수 있는 가능성이 담겨 있다. 하지만 이 가능성이 현실성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역사 속에 잠재된 타자적 가능성을 현재로 끌어들이는 한 편, 역사와 사회를넘어서 있는 인간 자신의 초월적 특성을 능동적으로 발휘해야 한다.
    여기서 역사 속의 익숙한 타자와 초월적인 자기의 만남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대상을 필요로 하는데, 그 대상은 어느 중심에도 속하지 않은 제 3 지역으로서의 접경구역이다. 한반도는 바로 이 접경구역의 성격을 띠고 있어서 새로운 문명의 발현이 가능한 땅이다. 하지만 접경에서의 혼돈은 지양되어야 하며, 지양의 방향은 평면에서 충돌하는 욕구들을 입체적으로 해결하는 데 있다. 원효의 화쟁 개념은 비록 과거에 불가적 지성계에서만 부분적으로 수용되었을 뿐 아직까지그 개념적 효용성이 현실화되지 않고 있는데, 이 화쟁 사상을 되살려오늘날 복합적이고 중첩적인 한반도의 초합리주의적인 현실을 진단하고 그것이 직면한 질곡에서 벗어날 수 있는 출구를 마련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한반도에서 새로운 문명의 서장이 열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How do we look into the new human beings beyond rational beings? Is there any new way beyond the fetters of modern civilization? In this paper, it was provisionally concluded that the western rational human beings brought about an unfortunate result overlooking the fact that human beings were already so at the same time, the eastern trans-rationalism was presented to the breakthrough of innovation.
    Rationality is based on logicality and formalistic logic is universally applied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 of objects, with the result that it has so strong power. However, it is the very blind spot of rationality and there is a room for Eastern logic. Eastern logic basically orients toward material logic. Material logic gets accomplished consider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facts and objects. Therefore, it considers whether a fact is reasonable or not, in addition to the rationality of facts. Eastern reasonability is fulfilled by considering relationality and conditionality.
    The reason why Eastern seem irrational or emotional is not because they are wanting in rationality, but because they have trans-rationality. These facts have a thread of connection with what Nietzsche tried grafting a demigod’s personal duality or obscurity on the actual state of things through artistic inspiration as he distinguished‘Dionysian’from‘Apollonian’.
    In other-centered or other-oriented viewpoint, the interconnection of the rela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i.e., the border area is only being and there is no anything beyond it. In other word, the border area is trans-rational scope, not transcendent scope. Transcendence is a metaphysical utopia, but trans-rationality points out the empirical complex of rationality.
    This complex is an incommensurable and indeterminable scope unaccepted in the single-lined rationality of the West. The border area is an unstable scope that functions as a gray zone between subject and object, each one cannot be free from due to such a scope.
    Trans-rationalism sublimates rationalism rather than refuse it.
    Rationality itself is plane. Thus, the confrontation and dissension of interest are inevitable in rational viewpoint. In rationalistic solution, a universal criterion is already set and realistic power acts on it. For this reason, a party is obliged to put up with an unfair decision rather than mutual negotiation in case the interest is collided with each other. This aspect shows the unfairness and inequality arisen as Western rationalism was introduced into the East.
    Western rationality resonates self-centered reason under the name of reasonable judgment on incidents. On the other hand, Eastern trans-rationality may contribute to multilateral conception that orients self and other-centered horizontal human relation, overcoming the parallel application of Western rationality. The reasonable ethicality shown in Western rationality had been found to be unethicality. Hence, Eastern trans-rationality should establish new ethics beyond the unethicality of Western rationality, and should open the new way to universal validity, not egocentrism.
    Then, how does Eastern trans-rationality overcome the blind spot of Western rationalism? Such being the case,‘ the Logic of Harmonization(和諍)’advocated byWonhyo may be an alternative.
    It is because the ideology had lifted unidimensional solution up to multilateral level. Although various desires are congregated together, those should not be collided with each other as well as a new configuration should be emerged there. This is the aesthetics of medium sublimated by overcoming disunion. Such transrationalistic conceptions should be systematically established by the thought based on new civi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헤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