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중틀 접근을 통한 사업체패널조사의 표본추가 및 가중치 산출 (Use of Dual Frame Approach to Sample Supplement and Weighting for Workplace Panel Survey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0.08
23P 미리보기
이중틀 접근을 통한 사업체패널조사의 표본추가 및 가중치 산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사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사연구 / 21권 / 3호 / 37 ~ 59페이지
    · 저자명 : 박인호, 김기민, 김정우

    초록

    패널조사는 특정 시점의 모집단을 대표하도록 추출한 표본 개체를 다수 시점에 걸쳐 추적하여 조사하므로 해당 시점의 모집단 전체의 평균적 특성 변화인 순변동은 물론, 개인 수준의 특성 변화인 총변동의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계속되는 조사로 발생되는 무응답, 적격성 상실, 추적 실패 등이 누적되는 패널마모를 피할 수는 없다. 특히 사업체 대상의 패널조사는 휴‧폐업과 합병, 신규 사업장 생성 등과 같은 구성 변동, 종사자나 매출액 등의 사업체 규모 변동, 그리고 업종 변경 및 지역 이전 등과 같은 특성 변동이 다소 극단적으로 발생한다.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추적 시점의 횡단면 모집단 특성을 분석하는 경우에는 패널마모로 인한 대표성 보강을 위해 표본추가가 종종 고려된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이 주관하는 사업체패널조사의 2016년도 제6차 조사에서 고려한 표본추가를 위해 활용된 이중틀 접근에 대해 살펴본다. 이중틀 접근은 주로 횡단면 모집단 분석을 위한 표본설계에서 서로 다른 포함율을 갖는 두 개의 표본추출틀을 활용한 표본추출기법이다. 하지만 시간흐름에 따른 모집단 구성 변동이 심한 사업체패널인 경우에 이중틀 접근을 활용하면 사업체등록정보가 없는 한계적인 상황에서 보다 시의적으로 모집단 변화를 반영하는 표본추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의사최대가능도 추정을 적용하면 기존 횡단면 표본은 물론 표본추가로 확대된 횡단면 표본에 대해서도 적절한 가중치 산출이 가능하다.

    영어초록

    In a panel survey, a sequence of interviews are carried out over time to the same sample units that are selected to represent the population of a certain point in time. Collected data from the panel survey enables analyses of the gross changes of characteristics at the unit-level as well as the net change of means at the population level over time.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avoid the panel attribution, such as non-response, loss of eligibility, and tracking failure, which are caused by continuous follow-up. In particular, panel surveys for establishments are subject to some extreme changes in composition such as closed business and merger, creation of new business sites, changes in the size of businesses such as employees or sales, and changes in business types and regional relocations.
    Whe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oss-sectional population at the time of tracking using panel data, sample supplement is often considered to reinforce representativeness due to panel attribution. This study examines the dual-frame approach used to supplement samples considered in the 6th wave in 2016 in the Workplace Panaly Survey(WPS) conduct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The dual frame approach is a sampling technique that utilizes two sampling frames with different coverages in the sample design mainly for cross-sectional population analysis. However, in the case of an establishment panel whose population composition fluctuates over time, the dual-frame approach can be used to supplement a sample that reflects the population change more timely under limited circumstances where there is no business registration. In addition, if the pseudo-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is applied, appropriate weights can be calculated not only for the existing cross-sectional sample but also for the cross-sectional sample expanded by supplementing the sa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