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형 장애인 공동체 모델의 유형 및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Type and Applicability of Korean Community Mode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7.03
31P 미리보기
한국형 장애인 공동체 모델의 유형 및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기독교학문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신앙과 학문 / 22권 / 1호 / 213 ~ 243페이지
    · 저자명 : 이정주, 이선우

    초록

    본 연구는 서구 장애인공동체 모델이 한국 장애인복지의 또 하나의 대안으로서 시도 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기존 시설 보호 중심의 거주시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시도된 탈시설화 및 자립생활운동이 진행되고 있으나, 우리사회가 아직 장애인을 온전히 포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한계를 절충할 수 있는 제 3의 관점으로 접근한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라는 이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서구에서 진행되고 있는 장애인공동체인 “캠프힐”의 사례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아 이를 분석하고, 한국적 상황에서 적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연구진들이 총 2회의 캠프힐을 방문 및 직접 생활하여 문헌연구의 한계를 보충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 공동체는 ‘의도적 공동체’의 성격으로 조직되었으며, 공동체 내에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각자 역할을 가지고 있는 기여자(Contributor)로서, 원가정과 유사한 가정생활단위의 공동생활을 통해 인격적인 친밀감과 공동체 구성원의 공통의 가치가 협의되는 자치생활을 하고 있으며, 이는 서비스 수혜자와 공급자로 나눠지는 기존 사고의 한계 극복이라는 함의를 주고 있다. 또한 공동체 내외의 작업장에서의 모든 공동체 구성원들은 각자 부여된 역할이 있으며, 노동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있다. 공동체에서 장애인과 함께 살아가는 비장애인 구성원들은 삶의 터전으로서 장애인과 함께 살며 함께 일하는 삶을 선택하였으며, 이러한 삶을 통해 생활유지와 자기성찰적 삶을 살고 있었다.
    기존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시설과 다른 유형의 서구의 장애인공동체의 모델을 한국적 상황에 맞춰 적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행법상 가능한 장애인공동체의 세 가지의 유형을 제시하였으며, 각각이 지닌 특징과 장점, 그리고 한계에 대해 언급하였다. 결론에서는 한국형 장애인공동체의 설립과 지속을 위해 필요한 물적ㆍ인적 자원의 확보의 중요성을 언급하였으며, 한국형 장애인공동체의 정책적ㆍ실천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whether a community mode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Western countries can be an alternative to social welfar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Although self-reliance which promotes ‘deinstitutionaliz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Korea in order to overcome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residential facilities of the institutional care centers, the realistic situation that Korean society is not yet ready to fully embrace people with disabilities must also be considered. Under the circumstances and in order to compromise such situ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the ‘Community’ concept can also be applicable in Korea as a new social welfare alternativ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urthermore, in this study, the cases of “Camphill” in Western countries were analyzed which is based on theoretical concept of a major study, investigating whether these cases can be applied to Korean situation. As a research method, whilst focusing on literature study, the researchers visited and lived in Camphill itself two times, try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found that the disability community is established as a ‘purposed community’ and all the people with or without disability in the community bears his/her own role and are called ‘Contributor’. The community allows its members to enjoy autonomous living with intimacy and common values, which can be negotiated through sharing the community life in a house unit. This in turn implies that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thinking, which is divided into service recipients and providers, can be overcome. All community members take certain roles inside and outside the community for technical as well as for mental self-sufficiency. The study discovered that the members without disability also chose to live with members with disabilities as a ground of their life, whilst continuing to live in self-reflec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apply the model of the Western commun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itted to Korean situation, three types of commun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been proposed and explored features as well as limitations of each community type. In Conclusion, it was noted through this study that securing necessary resources is essential. Not stopping here, practical policy propositions were made. Finally, this research discussed limitations to the present study and made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앙과 학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