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활동체계이론에 기반한 A대학 연구자 학습공동체 활동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a A-college Researchers Learning Community Based on Activity Theor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9.02
24P 미리보기
활동체계이론에 기반한 A대학 연구자 학습공동체 활동 사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학교와 수업 연구 / 4권 / 1호 / 1 ~ 24페이지
    · 저자명 : 이현명, 심영택, 김남균, 김민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집단적 학습활동에 주목하고 있는 활동체계이론을 바탕으로 A대학 연구자학습공동체의 활동 사례를 분석하고 그 성과와 한계를 밝히고자 한다. 분석 결과, A대학 연구자 학습공동체는 학문적 토대가 각기 다른 다양한 전공 분야에 기반을 둔 사람들이(주체면), 대학과 단위학교간의 협력 모델을 통해 교사의 자기주도적 교수역량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학교문화와 수업문화를 개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목적면). 본 학습공동체는 세미나 및 협의회 녹취록 자료, 회의록 자료, 설문조사 결과 등을 활용하였고, 협력학교에 대한 PLC 운영 지원 활동에서는 수업동영상, 서적, 교과서 등과 같은 물질적 도구와 수업비평, 수업 관찰, 수업 분석 등과 같은 개념적 도구를 활용하였다(도구).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자기주도적 수업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교사학습공동체(PLC)를 통한 수업소통능력 강화를 위한 방법 및 체계에 관한 연구활동을 수행하였다(활동면). 또한 PDS구축 연구팀내 하위 연구과제팀과의, 대학과 단위학교 간 협력 관계와 교육청과 대학의 지원 관계를 바탕으로(공동체면), 연구자들 사이에 ‘가능한 끝까지 함께 가자’, ‘서로의 관점과 목소리를 최대한 수용하고 존중하자’, ‘구성원간의 전문성 신장과 공동체 발달에 상호 책무성을 지니자’ 라는 규칙을 공유하면서(규칙과 규제면),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뿐만 아니라, 대학연구자 공동체에서 각기 리더 역할과 촉진자 역할을 돌아가면서 수행하거나 분담하면서 조직을 운영해 왔다(분업면). 끝으로 A대학 연구자 학습공동체가 지닌 정체성과 지향하는 지식의 성격 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달 단계나 지역 교윢기관과의 관계 구축 등에서 문제점을 인식할 수 있었다(성과와 한계).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case of a A-college researcher learning community based on activity theory which focuses on collective learning of human beings and to explore its effect and limit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n this research, a A-college researcher learning community consisted of its members who were in the different disciplinary fields and from the diverse academic background(subject). It was improved the self-directed instructional capability through a collaborative model of a school-university partnership and pursued the improvement of the class culture and school culture(object). It was also used the varied set of data such as survey results, materials for meeting and proceedings, audio recordings and transcriptions, seminars, and notes from the weekly meeting in a A-college researcher learning community and utilized physical tools including classroom videos, professional literature, and textbooks and conceptual tools class critiques and classroom observation and analyses for the supportive activities to carry out PLC activities with the partner school(tool). Based on studying subjects, objects, and tools of this research, it was conducted in researching on methods and systems to strengthen classroom dialogue through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hich was focused on reenforcing teachers' self-directed instructional capability(activity). At the same time there were a supportive relationship with a university and a local office of education,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a university and a school, and a relationship for establishing a PDS team with the sub-teams(community). Under the condition of its sustaining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Its members attempted to share its rules of this community: keep our community and membership permanently, respect for the voice and perspectives of others as much as possible, take responsibility for developing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nd communities of its members(rules and regulations). This community required us to run organizations by sharing its division of labor and playing a role of a leader and facilitator both in a college learninng community and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t schools(division of labor). Last and at least, a A-college researcher learning community could recognized its identity and orientation toward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and identified its problems with respect o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or developmental st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