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대 말기 학술공동체와 정치 네트워크 연구 - 동림과 복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f Academic Communities and Political Networks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Focused on Donglin and Fushe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20.02
26P 미리보기
명대 말기 학술공동체와 정치 네트워크 연구 - 동림과 복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50권 / 345 ~ 370페이지
    · 저자명 : 신현승

    초록

    중국 명청시기 유교 학술공동체로서의 서원과 강학 네트워크는 획일적 같음을 지양하지 않았다. 오히려 다함께 학술과 정치를 자유롭게 논했다고 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중국 명대 중기부터 본격화된 서원과 강학 제도의 발전과 전개 양상을 살펴볼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담약수(湛若水, 1466-1560)와 왕수인(王守仁, 1472- 1529) 등 양명심학(陽明心學) 계열의 학자들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또 명대 말기 양명학 진영에서의 활발한 학술 논쟁과 여러 학술 유파의 등장에 관해서도 이 둘의 존재와 관련지어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확실히 명대 중기 이후 서원 강학의 제도화에 가장 크게 공헌한 것은 역시 양명학파, 즉 왕수인과 그의 제자들이다. 다른 한편으로 이들(양명학 좌파)과의 격렬한 학술 논쟁을 전개한 주자학 계열의 동림학파 및 주자학‧양명학의 절충과 융합을 시도한 즙산학파의 유종주를 빼놓고서도 명말청초의 중국 유교사상사를 이해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이 논고는 중국 전근대의 서원과 강학의 전통을 연구범위의 시야에 넣으면서 명대 말기에 이르러 활화산처럼 흥성한 서원과 결사 및 강학의 유교 학술적, 정치적 양상 등에 관하여 동아시아 전근대의 유교 학술공동체의 한 사례로서 파악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중국 송명대 서원과 강학의 제 양상에 관하여 유교 학술공동체라는 측면에서 인식하고 명대의 서원과 강학의 양상이 어떠했는지, 또 명대 서원의 존재 의미 및 강학의 주요 내용인 유교적 학술 담론과 현실 정치적 담론이 어떠했는지 등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여기에 더해 명대 말기 주요한 학술‧정치 네크워크로서 동림학파와 소동림(小東林)이라는 불리는 복사(復社)의 전개 양상에 관해서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Academies as Confucian academic communit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Networks during the period of Ming and Qing, China did not aim at the uniform sameness. Rather, they freely discussed studies and politics altogether.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academ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which became earnest since the mid-Ming Dynasty of China, it is no doubt that we cannot skip the figures in the line of Wang Yangming's Philosophy, like Zhan Ruoshui (1466-1560) and Wang Shouren (1472-1529).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not to mention the two persons either concerning the appearance of active academic debates and various academic schools from the camp of Yangmingism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Definitely, those who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cademy since the mid-Ming Dynasty was Yangming School, that is, Wang Shouren and his pupils. On the other hand, it is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Confucian thoughts of China during the late Ming period and the early Qing period without Donglin School in the line of Zhuxiism, who actively developed fierce academic debates with them (Left-wing of Yangmingism) and Liu Zongzhou of Jishan School, who attempted the compromise and fusion between Zhuxiism and Yangmingism. This study understood the Confucian academic and political aspects of the academy, incorpor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which flourished like an active volcano in the late Ming Dynasty as an example of the Confucian academic communities during the pre-modern times in East Asia, putting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traditions during the pre-modern times of China into the scope of research. Thus, this study recognized all the aspects of the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during the Song and Ming Dynasties, in terms of Confucian academic community and discussed the aspects of the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during the Ming Dynasty and the raison d'etre of the academy during the Ming Dynasty and Confucian academic discourse and the real political discourses, which are the main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ddition, this study concretel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Donglin School as an important academic and political network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and Fushe, which is also called Xiaodongl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