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국가시대 세계디아스포라 민족공동체의 변화 양상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nge of Global Diaspora Ethnic Community in Transnationalism)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1.06
31P 미리보기
초국가시대 세계디아스포라 민족공동체의 변화 양상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북아논총 / 16권 / 2호 / 231 ~ 261페이지
    · 저자명 : 임영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국적인(Transnationalism) 글로벌시대 한인, 화인, 유대인디아스포라라는 세계를 대표하는 디아스포라 집단(Diaspora Group)들이 국민국가의 민족정책에 의해 ‘상상의 공동체’를 구축하고 이를 현실 속에서 어떤 ‘민족공동체(네트워크 관계)’로 발전시켜 왔는지에 대한 국가의 이상(Ideality)과 디아스포라 민족공동체(Diaspora Ethnic Community) 현실 사이의 괴리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기존연구를 통해 글로벌시대 각 국가들이 국민국가의 틀을 벗어나 이들 디아스포라집단과 관련된 국가들의 디아스포라정책과 민족공동체 형성을 강조하는 정책변화가 왜 필요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향후 초국가시대 민족공동체의 양상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초국적인 글로벌시대 디아스포라 집단을 지탱하는 한국과 중국의 디아스포라 정책은 민족공동체 구축과정이 해당국가의 필요성에 따라 국가정책에 의한 가상의 공동체(정책)와 현실의 공동체(네트워크)를 융합하려는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경우 국가정책이 유대인디아스포라를 여전히 국가나 민족에 귀속시키려는 상상의 공동체적인 속성이 현실 속의 경제적인 네트워크 관계를 강조하는 속성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두 가지로 지적할 수 있다. 첫째, 과거 국가에 의해 주도된 각국의 디아스포라 정책이 상상, 가상, 현실의 공동체라는 민족공동체의 형성방식을 취하면서 ‘민족의 자산화’, 즉 '디아스포라 개인의 번영이 국가와 민족의 번영'이라는 이상적인 목적을 가지고 재민족화를 추구한다는 점이다. 둘째, 초국적인 글로벌시대(Transnationalism) 디아스포라 민족공동체가 현실적으로 그들 모국과 민족의 이익을 위해 노동력과 자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개인의 이익을 우선하는 탈민족화를 추구하기도 한다. 이 논문의 시사점은 초국가시대 디아스포라 민족공동체가 재민족화와 탈민족화 사이에서 유동적으로 변이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는 점에 있다.

    영어초록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world trans-nationalism, represented by the Korean, Chinese and Jewish Diaspora ethnic community, these Diaspora Groups try to construct their ‘imaginary community’by the national policy. The current study through investigating the actual development of these Ethnic Communities (Network Relationship), aims to figure out the gap between the national ideality and the actual Diaspora Ethnic Commun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im, this study through investigating why it is necessary for each of these countries to get rid of their old mode or change their policy to stress their national Diaspora policy and the formation of Ethnic Community in the globalization era, tries to explore how to develop the mode of the Ethnic Community under the era of trans-nationalis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trans-nationalism era, in China and South Korea, the Diaspora policy supporting the Diaspora Group, is depend on the need of the country, there is a strong trend of merging the imaginary community policy and the actual ethnic community (Network). However, in the national policy of Israel, the imaginary community which make the Jewish Diaspora completely realized their sense of belonging is much stronger than the actual economic network.
    There are two implications in the current study: first, in the past the Diaspora policy was dominated by the country, it took actual measures to build an imaginary, hypothetical and actual ethnic community, and meanwhile, to carry out the ethnic capitalization. In other words, the prosperity of Diaspora individual was the ideal aim of the prosperity of the country and the nation. Second, in the era of global trans-nationalism, it can be easily found that the Diaspora ethnic community is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capital and labor force to carryout the interest of their home country and their nation. Actually, in this process they seek their individual interest at first, so it also can be said to denationalize. In short, in the era of trans-nationalism, Diaspora ethnic community is in a dynamic state changing between renationalization and denation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북아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