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의 평천하(平天下) 개념과 성리학적 정치공동체 (The Concept of Pyungchunha (平天下) and the foundation of Neo-Confucian political communi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8 최종저작일 2015.02
26P 미리보기
『대학』의 평천하(平天下) 개념과 성리학적 정치공동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정치연구 / 24권 / 1호 / 1 ~ 26페이지
    · 저자명 : 소진형

    초록

    본 논문은 『대학(大學)』의 평천하(平天下) 개념을 남송대(南宋代) 성리학자인 주희(朱熹, 1130-1200)의 주석들을 분석해서 규명하되, “평”을 “공정”으로 번역해야 한다는 이유를 논증한다. 기존의 주희의 『대학』해석에 대한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수신, 즉 공동체를 구성하는 구성원들이 공공성을 획득하는 과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는 주희가 『대학』을 군주를 비롯한 통치자들뿐만 아니라 정치질서에 관여하는 모든 공동체 구성원들을 위한 텍스트로 열어놓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역으로 성리학적 정치의 완성과 연관된 평천하개념에 대한 무관심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또한 「평천하」장 내용은 비일관적이기 때문에 평천하 개념을 번역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본 논문은 평천하 개념을 번역하기 위해 「평천하」장을 단독으로 분석하되, 비일관적으로 보이는 「평천하」장의 조목들을 일관적으로 해석함으로써 평천하의 “평”이 공동체 성원들의 동일성의 기초를 만들 수 있는 제도적 원칙과, 그 원칙의 원리로서의 공정성을 확립하는 것이라는 점을 증명한다. 그리고 주희가 설명하는 평천하는 정치의 완성된 형태나 평화로운 상태가 아닌, 아닌 공정성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의 기초가 안착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점을 설명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Pyungchunha (平天下) in Dai Hak (大學, Great Learning) through Chu Hsi’s (朱熹, 1130-1200) annotations. With analysis of the annotations, this paper argues that Pyung is translated into “do justice” or “bring fairness.” Pyungchunha chapter of Dai Hak is rarely interpreted due to its textual inconsistency. Also, it is generally understood as the result of susin (修身, moral cultivation) so Pyungchunha is not given academic attention. Chu Hsi (朱熹, 1130-1200), the most influential Neo-Confucian scholar, insists that Dai Hak is a political text for all the members of community, not only for the ruling class, so self-cultivation is important to become good political members. However, although self-cultivation is the most important demand to keep the order of the world, it does not explain the mechanism and the operation of politics.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Pyungchunha is not only the result of the self-cultivation, but the just foundation of political mechanism in the public sphere. To demonstrate this argument, I analyze this concept exclusively and interpret its subconcepts like Hyulgu (絜矩), Ho-o (好惡), and the matter of taxation and revenue coherently.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se subconcepts, I demonstrate that Pyungchunha is not the state of peace of the entire world but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of gove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정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전